2025‘방어진에서 다-해(海)!’ 방어진회축제 성황리에 마쳐
[뉴스21일간=임정훈]울산동구 방어진회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박문옥)는 11월 15일 오후 2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방어진활어센터 일원에서 ‘2025 방어진에서 다-해(海)’ 방어진회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이번 축제에는 방어진활어센터 내 횟집과 해산물집 등 50여 개 점포와 회초장집 10개소, 건어물점, 카페 등 방어진항 일대 가게 등이 참...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에 의한 노인 빈곤과 질병, 차별과 무관심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창원시 또한 노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창원시는 노인일자리 질을 향상시키고 일하기 좋은 환경조성을 위해 `노인일자리 확대 방안`을 마련했다.
향후 5년간 시비 328억원을 포함한 총 955억원을 투자해서 4만개의 노인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안 시장은 이를 실행하기 위해 ▲노인 일자리 지원 정책시스템 강화 ▲공익형 노인 일자리 확대 ▲민간 노인 일자리 창출 촉진 ▲노인 고용촉진 및 인프라 구축을 `4대 전략`으로 설정하고 `12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노인 일자리 지원 정책시스템 강화ㆍ공익형 노인 일자리 사업 확대는 노인일자리 정책의 지속성과 일관성 확보를 위해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조직과 제도를 정비하고,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의창구 동정동 일원에 6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120평(395㎡),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노인비전센터`를 개소해 `노인지원 통합 플랫폼` 역할을 할 예정이다.
또 노인 일자리 사업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공익형 노인일자리 사업을 효율화함으로써 일자리 확대 효과를 제고할 계획이다.
둘째, 민간 노인 일자리 창출 촉진ㆍ노인 고용촉진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은 민간부문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우선 `노인 고용 우수기업 인증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는 고령자 고용에 적극적인 기업체를 발굴해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민간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다.
시는 기존 일자리와 노인 인력 연결체계 강화를 통해 노인일자리 창출의 한계를 극복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ONE-STOP 노인 취업연계시스템 ▲찾아가는 노인취업상담소 ▲잡(JOB) 매칭데이 운영 등 구인ㆍ구직 미스매칭 해소사업을 다양화한다.
은퇴자에 대해서는 재취업 교육, 노노(老老) IT 서포터즈, 서비스 분야 취업교육 등 `실버 인재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제 고용으로 이어지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안상수 시장은 "이번 `노인일자리 확대 방안`을 통해 향후 5년간 공익형 2만 9,650개, 시장형 4,910개, 민간부문 5,440개를 합해 총 4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겠다"며 "어르신들의 사회참여와 존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2022년 창원시 노인 일자리 규모는 연간 6,500개에서 9,000개로 2,500개가 늘어나고, 노인 고용률은 2016년 36.6%에서 2022년 38.5%로 1.9%p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현재 7대 광역시의 평균 노인 고용률이 37.1% 수준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