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녕군 남지읍 일원에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워터플렉스 조성사업과 관련해 경남지역 시민단체가 낙동강 식수원 오염을 우려하며 친수공간 조성사업을 적극 반대하고 있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25일 오전 10시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식수원 오염으로 불안한 낙동강에 워터플렉스 등 친수공간은 안되며 낙동강 재자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낙동강 워터플렉스 조성사업은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와 도천면 송진·우강리 일원 25만7000㎡에 국비·지방비 등 270억원을 투입해 수영장, 캠프장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경남도와 창녕군이 지난 2012년 11월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에 들어갔으며, 2013년도에 경남미래 50년 전략사업으로 확정됐다.
같은 해 7월 지방재정투·융자 심사에서 조건부 승인을 취득했고, 2015년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초안을 작성하고, 실시설계 용역에 착수했다. 2016년 2월 사업 설계의 경제성을 검토, 2017년 6월 현재 소규모환경영향평가 협의 중에 있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낙동강 워터플렉스사업은 소규모환경경영평가 초안을 토대로 낙동강유역환경청이 협의 중에 있으면서도 평가서 초안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성토하며 “해당사업은 부산경남 주민들의 식수원 상류지역으로써 이 사업으로 인해 식수원 오염이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환경영향평가 비공개는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원시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에서 탄성우레탄 포장, 마사토 포장 등 독성물질 유발할 수 있는 사업이 포함되어 개발되는 것은 도민으로써 용납할 수 없다”며 “대상지인 창녕군 유채꽃 축제를 벌이는 장소로 사업이 완료되면 더 많은 차량들로 인해 비산먼지 및 미세먼지 중 일부는 고스란히 낙동강으로 낙진돼 수질오염의 우려는 더 커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낙동강 워터블렉스 사업은 4대강 재자연화 계획 결정이후 추진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여름이면 녹조범벅이 되는 낙동강 수변에 레저시설 개발과 친수 공간 활용은 낙동강을 살려놓은 이후 검토해도 늦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혔다.
한편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오는 26~27일쯤 낙동강 워터플렉스사업 관련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통보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