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시인했어도 한국의 햇볕정책 지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22일 정례브리핑에서 밝혔다.
바우처 대변인은 "일부 이견 조정, 이산가족 상봉 등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얘기하는 것을 북한이 따르도록 하는 여러 가지 시도들이 중요한 것"이라면서 "그러나 북한이 이런 문제들에 대해 협력 용의가 있느냐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우방들과의 협의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방안을 중요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어떻게 보장하고 북한이 얼마나 즉각적이고 가시적으로 이 프로그램을 종식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인지도 우방들과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전날 21일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이 말한 "지역 내 동맹국들과 협의하는 조치가 우선이며 현재 그 협의가 진행 중"이라는 말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지난 19일 방한한 미국의 켈리 차관보가 북한의 핵 개발 시인 배경에 대해 대화를 통해 해결하자는 한국정부와 달리 “대화의도가 아니다”라고 분명히 말한 적이 있고, 콜린 파월 국무장관은 "북한은 제네바 합의서를 파기했다"고 말한 적이 있다.
한편 일본은 북핵 파문 이후에도 오는 29∼30일로 예정된 북·일 수교교섭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혀 한·미간 중간자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진동우 기자> jdw@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