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4년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우편업무를 시작한 우정국은 1905년 통신권을 일본에 빼앗길 때까지 보통우표 54종을 발행했다. 대한제국의 문장인 오얏 문양이 주로 발행되었으므로 이화우표라 부르기도 하였다. 대한제국시기 백동으로 만든 화폐에도 표면의 위쪽에는 오얏꽃, 오른쪽에는 오얏나무 가지, 왼쪽에는 무궁화 무늬를 새겨 넣었다.
조선이 오얏꽃(자두꽃)을 왕실의 나무로 삼은 적은 없으나 대한제국이 들어서면서 오얏꽃(자두꽃)은 대한제국을 대표하는 문장(紋章)으로 사용되었다.
신라말 도선국사는 『도선비기』에서 5백년 뒤에 한양(서울)에 오얏, 즉 이씨 성을 가진 왕조가 들어설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그래서 고려 중엽 때에 오늘날의 서울 지역에 남경(南京)을 설치하고 이 지역에 오얏나무를 많이 심었다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베어버려 이씨의 왕기(王氣)를 다스리려 했다고 한다. 그러나 1392년 이성계가 한양(서울)에 조선을 개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