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아침 한 끼가 만든 활기찬 등굣길… 제주서중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캠페인 성료
21일 아침, 제주서중학교 교문 앞은 특별한 온기로 가득했다. 이른 등굣길을 나선 학생들에게 밝은 미소와 함께 백설기와 식혜가 전해지며 학교 주변은 어느 때보다 활력이 넘쳤다. 농협 제주본부와 (사)참사랑실천학부모회가 함께한 ‘든든한 아침, 활기찬 하루!’ 등굣길 응원 캠페인이 올해 마지막 행사로 진행된 것이다. 이번 캠페...
아침과 저녁으로 쌀쌀한 찬바람이 가을이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왔음을 알리는 듯 하다. 그리고 가을과 함께 주변에 알록달록 꽃들도 이제 만개할 채비를 서두르는 모양새다. 추석도 코앞이다. 넓은 들판 길가에 흐드러지게 핀 코스모스가 있는 고향 생각이 깊어지는 계절이 왔다.
# 향수의 역 황등역
‘코스모스 피어있는 정든 고향역’ 국민애창곡 나훈아의 ‘고향역’ 첫 가사이다.
먼 훗날 금의환향을 꿈꾸며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한 이들의 가슴을 구슬프게 적신 고향역의 배경은 다름이 아닌 황등역이다.
전북 순창에서 태어난 고향역의 작곡가 임종수 선생님은 학창시절 삼기면에 있는 형님 집에서 산길을 넘어 황등역으로 가 통학 열차를 타고 다녔다. 삼기에서 황등역까지 20리 길을 기차 시간에 맞추기 위해 쉼 없이 뛰다시피 했던 그때 그 시절, 기찻길 옆에 핀 코스모스를 보면서 고향의 어머니 생각에 많이 울었던 추억을 되살려 지은 명곡이 바로 ‘고향역’이다.
황등역은 한 때 여객, 화물 취급을 모두 중지한 무인역이었으나, 조차장 및 화물 취급 기능 일부를 넘겨받아 2001년 보통역으로 환원되었다.
세월이 흘러 예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지만, 가을이 되면 역 주변으로 형형색색의 코스모스가 흐드러지 피어 가을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잠시마나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다.
# 전국 으뜸의 화강석
익산시 황등의 최고의 자랑거리는 바로 전국에서 가장 질이 좋은 화강암 생산지라는 것이다. 익산은 예전부터 단단하고 이물질과 철분의 함유량이 적어 부식이 잘 되 않는 질 좋은 화강석이 많이 나오기로 명성이 높았다. 함열읍과 낭산면 그리고 황등면에서 많은 화강석이 생산되는데 특히 황등석이 가장 유명하였다. 황등면은 돌로 먹고 산다는 말이, 황등석의 유명세를 잘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석재 산업이 한창일 적에는 온 동네가 하루 종일 돌을 깎는 기계소리로 가득 찼었다.
국회의사당과 독립기념관 그리고 청와대 영빈관 건축에 황등석이 사용되었다. 또, (古)노무현 前대통령의 묘역에도 황등석이 사용된 것은 그 품질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는 증거인 것이다.
이제는 매장향의 고갈로 예전만큼 많은 석재를 생산하지 않아, 하루 종일 온 동네에 울려퍼지던 우렁찬 기계소리도 예전만 못 하지만, 여전히 황등에는 화강암 가공을 위한 석재공장이 많이 남아있다.
# 황등 맛, 전국을 사로잡다.
돌로 먹고 산다는 황등면, 그곳에는 식도락가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진짜 맛이 있다. 바로 황등비빔밥이다. 황등비빔밥은 전주, 진주비밤밥과 더불어 전국 3대 비빔밥으로 손꼽힌다. 흰 쌀밥위에 각종 나물과 고명이 얹혀 나오는 비빔밥과 달리 기본양념에 콩나물과 시금치, 쑥갓 등을 넣고 뜨거운 불에 한 번 비빈 후 그 위에 소고기 육회를 얹히는 것이 특징이다. 소고기 육회와 비빔밥을 한 번 더 비비면 밥의 온기로 살짝 익은 소고기의 육즙과 비밤밥 특유의 고소함을 함께 맛 볼 수 있다.
“엿장수 타령” 소개 된 황등 용산면의 찹쌀엿은 토질이 좋은 익산에서 재배한 찹쌀을 넣고 만들어 그 향과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조선시대 전통방식 그대로 만드는 용산 찹쌀엿은 이에 잘 붙지 않으며, 임금님의 진상품으로 더욱 유명하다. 현재는 소규모로 만들어 판매가 되고 있다.
또, 황등은 1900년대 초부터 맛 좋은 물고구마 생산지로도 유명하다. 질 좋은 황토에서 자란 노락색 황등 물고구마는 잘 익은 김치와 곁들여 먹으면 그 맛이 참으로 좋았던 최고의 간식거리였다. 추운 겨울 가을에 수확해 놓은 고구마를 쪄, 물김치(동치미)나 김치와 같이 먹으면 그 맛이 참으로 일품이었다. 지금도 고구마 수확시기가 오면 그 맛을 잊지 못 하시는 분들이 황등고구마를 많이 찾고 있다.
이번 추석에 온 가족들이 모여 추석음식과 더불어 밤참으로 고구마를 쪄 먹으며, 아련한 지난 날 모두의 추억을 곱씹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