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를 건설할 경우 수도 이전 완료 후 10년간 경기도의 소득증대가 8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9일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이 서울대에 '신행정수도와 고속철도 사업이 수도권에 미치는 영향-GRDP와 인구분포변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위탁한 결과 이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이 완료되는 2011년부터 이후 10년간 성남·고양 등 신도시를 중심으로 경기도 인구는 122만명이 줄어드는 대신 지역내총생산(GRDP)은 오히려 7조9609억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권과 교통망이 잘 연계돼 있는 경기도 수원 5조5000억원, 용인 2조9000억원, 안산 1조9000억원 등 지역이 가장 많은 혜택을 받는 것으로 분석돼 수도 이전이 지역성장의 촉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행정수도 이전에 따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약 10년 동안 수도권에서의 순인구이동 감소에 따른 전체 인구 감소는 약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했으며, 이중 경기도가 122만명, 서울이 59만명, 인천이 26만명 등의 순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동안 대전과 충북은 각각 12만1000명, 8만5000명의 순인구 증가가 예측됐으며, 다음으로 경북과 부산, 대구가 각각 6만3000명, 6만1000명, 5만9000명이 증가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신행정수도 건설에 따라 지역별 GRDP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1000명의 순이동인구 증대는 약 1.87%의 GRDP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인구이동의 감소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자치단체들의 GRDP 감소가 가장 현저할 것으로 분석됐지만 경기도의 경우 인구감소와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수도이전 이후 약 10년간 충청권은 약 132조원의 GRDP 누적으로 엄청난 지역발전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으며, 영남권 90조원, 전북, 전남, 광주의 호남권도 약 36조원의 GRDP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경기 북부역의 자치단체들은 경제적 손실이 예측되는 반면 충청권과 교통망이 상대적으로 잘 연계돼 있는 수원시와 용인시 등은 수도 이전이 오히려 지역성장의 촉진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 이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의 GRDP는 7조9609억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 이전 이후 약 10년간 고양시가 2조900억원, 의정부시가 8400억원, 파주시가 6700억원의 GRDP 감소가 예측됐다. 반면 수원시는 5조5000억원의 GRDP 누적증가가 있을 것으로 분석돼 가장 큰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예측됐으며, 기타 화성시, 용인시, 안산시, 성남시, 그리고 안양시 등의 순으로 주요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서울의 GRDP는 1조8000억원 감소하는데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를 담당한 서울대 이성우 교수는 "수도이전의 효과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당연하지만 수도 이전으로 인해 수도권이 공동화 된다거나 하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