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소비자·취업 대기자 큰 수혜”…수출 늘고 장바구니 물가 안정
한·미 FTA 발효가 3월 15일로 확정됐다. 경제 단체와 기업인, 통상 관련 학자, 소비자들이 일제히 환영 의사를 밝히며 그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경제 단체들로 구성된 ‘FTA민간대책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글로벌 경제 위기 여파로 수출 전선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 FTA를 체결한 것은 우리 수출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6년 결성된 FTA민대위는 경제 4단체인 한국무역협회·대한상공회의소·전국경제인연합회·중소기업중앙회를 비롯해 전국은행연합회, 관련 연구기관 등 42개 단체 및 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한국자동차공업협회와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도 성명을 통해 “한·미 FTA가 발효되면 4년 후 미국의 자동차 관세가 완전히 철폐돼 우리 시장의 10배인 1500만 대 규모의 미국 자동차 시장 선점과 수출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도 “한·미 FTA 발효로 국내 섬유·패션 제품의 수출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섬유산업이 고급화·차별화를 통해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할 기회가 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7만여 회원사를 둔 한국무역협회는 즉각 성명을 내고 “발효가 지연되면서 기업들이 경영 계획과 수출 전략을 세우는 데 많은 혼란을 겪어왔다”며 “발효 일자 확정으로 미국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환영했다.
지난 22일 취임한 한덕수 무역협회장도 취임사를 통해 “무역업계가 활동할 수 있는 넓은 시장을 확보해나가는 데 FTA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FTA 바로 알기 운동’을 핵심 사업의 하나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모두가 힘을 합쳐 한·미 FTA 체결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나가야 할 것”이라며 “기업들도 한·미 FTA가 일자리 창출과 서민 생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환영 의사를 밝혔다.
전국 13만 기업을 대표하는 대한상공회의소도 “유럽 재정 위기로 세계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무역수지 흑자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한·미 FTA는 수출 둔화를 완화하는 안전판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높였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환영 의사를 밝히면서도 FTA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개성공단 생산 제품의 한국산 인정에도 노력해줄 것을 정부에 당부했다.
중소기업인과 소비자들도 3월 15일 한·미 FTA 발효를 크게 반겼다. 화장품 용기를 생산해 미국에 직수출하는 진세물산 부성철 사장은 “작년 한·미 FTA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바이어의 주문이 20% 정도 급증했다”며 “테스트 시장인 미국에서 성공을 거두면 유럽과 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이 용이해진다”고 말했다.
산업용 장갑으로 이미 유럽 시장 개척에 크게 성공한 형제인터내셔널 이해수 대표도 발효일 확정에 대해 큰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 대표는 “향후 진동 방지용 장갑 등 특허품을 양산해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서울 노원구의 주부 변혜란씨는 “한·미 FTA 발효 후 식료품과 소비재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됐다”며 “정부가 국내 농축산인들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 한·미 FTA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을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