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치밀하게 대응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주재한 제11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내년에도 유럽 재정위기, 양대 선거, 북한 변수와 같은 불안요인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내외 경제상황이 녹록치 않을 전망"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농구에는 현재 점수에 만족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끊임없이 다음 플레이를 준비하자는 뜻의 '넥스트 플레이'란 말이 있다"며 "우리도 미래에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비하며 항상 '내일의 내일을 대비한다'는 자세로 민생안정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장관은 "2011년은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뚜렷했던 한해'였다"며 "연초에 구제역과 일본 대지진에 이어 하반기엔 유럽발 글로벌 재정위기와 최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이르기까지 예측하기 힘든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우리의 환율과 주가지수도 크게 변동했고, 세계경제도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그 과정에서 많은 국민들이 겪었을 어려움, 특히 물가와 전ㆍ월세 문제 등으로 서민 부담이 가중됐다는 지적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올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9번째로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돌파했고,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와 한ㆍ미 FTA 비준, 복수노조 허용 등과 같이 경제의 선진화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값진 성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외경제의 악재에도 국제신용평가사가 한국의 신용등급과 전망을 높이거나 유지한 것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예전보다 탄탄해졌음을 확인해준 것"이라며 "각자 위치에서 열심히 노력해주신 국민 여러분들과 관계부처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기획재정부 장관에 취임하면서 다짐했던 것들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된다"며 "마음을 비우고, 늘 되돌아보고, 가슴으로 듣고, 치열하게 고민하겠다는 초심을 내년에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장관은 이날 안건인 '김정일 사후 주요 경제동향 점검'과 관련해 "다행히 금융시장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실물경제에 대한 영향도 지금까지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아직 예단하기는 일러 주요 경제동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서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또 '2011년 국가경쟁력 분석 결과'에 대해선 "우리의 처지를 포장하거나 해명하기 위한 평가가 아닌, 취약점을 보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 관련해선 "맑고 깨끗한 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국민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홍수 등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한편, 물 산업 발전이란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첨단 정수산업 육성 및 해외수출 지원방안'과 관련해선 "각국은 막 여과를 통한 고도정수처리 산업을 국가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는 추세지만 우리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해 미흡한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막 여과 정수산업을 '미래 먹을거리'로 육성해야 한다"며 "막 여과 정수산업에 대ㆍ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하는 산업 생태계를 형성함으로써 신성장동력뿐만 아니라 동반성장의 모범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정책조정총괄과(02-2150-4513)
작성. 기획재정부 미디어기획팀 곽승한(shkwak@mosf.g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