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문의> ☎ 02-2100-6993 교육과학기술부 특성화고취업촉진팀 백일섭
☎ 061-286-3730 전라남도 일자리창출과 이영범
☎ 061-260-0573 전라남도교육청 취업교육담당 김정선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 전라남도(도지사 박준영),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장만채), 전남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주영순) 등 14개 기관은 12.21일(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특성화고 채용확대 및 교육기부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ㅇ 이번 행사에는 협약을 맺는 14개 기관 외 전남 주요 44개 기업 관계자와, 주영백 목포공고 교장 등 62개 특성화고 교장, 학부모 대표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 본 업무협약은 지자체, 교육청, 공공기관부터 고졸채용을 솔선하고,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산-학-관 매칭시스템을 운영하며, 교육기부를 통해 학생과 교원에 대한 연수 및 직업체험활동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데 교육과학기술부와 전라남도, 지역 기업, 경제단체가 인식을 같이함에 따른 것이다.
< 특성화고 학생 취업지원 >
□ 전라남도는 ‘12년부터 일반직 기술직렬공무원 신규채용 인원의 20%를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로 채용하고,
ㅇ 기존 5개 시·군(고흥, 보성, 나주, 강진, 장성)에서 실시되어왔던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공무원 특별채용을 타 시·군으로 확대한다.
ㅇ 또한, 중소기업, 출향기업, 공익법인에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출신 우수 기술·기능인재풀*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채용을 권고한다.
* 인재풀은 전라남도 지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장의 추천을 받아 구성
□ 금년 10월 이미 특성화고 학생 7명을 채용한 전라남도교육청은 '12년부터 일반직 기술직렬과 기능직 신규채용 인원의 50% 이상을 특성화고 졸업자로 특별채용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채용확대를 위해 관련 임용규정도 마련하였다.
※ ‘전라남도교육청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 지방공무원 임용에 관한 규정’ 입법예고(2011.12.13.)
ㅇ 광주은행, 대한조선(주), (주)파루, 농협중앙회전남지역본부 등 기업에서도 고졸자 채용 적합 직무를 적극 발굴하고,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을 채용해 나간다.
- 특히, 광주은행은 '10년 4명, '11년 16명의 고졸자를 채용하였고, '12년에는 채용인원을 20명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금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협약기관들은 취업을 희망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원하는 취업처에 취업할 수 있도록, 기업과 특성화고를 매칭하는데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ㅇ 그동안 전라남도에서는 도 및 시·군간 일자리 정보 공유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22개 시·군의 일자리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인기업과 구직자를 연계하기 위해 활발히 활동해 왔다.
* 도 일자리센터 취업연계 실적(11월말) : 233개 업체 582명
* 만남의 날 행사 2회 100개사, 취업박람회 3회 개최
ㅇ 앞으로 전라남도 일자리지원센터와 전라남도교육청 취업지원센터, 광주고용노동청, 광주전남중소기업청, 전남상공회의소협의회 등 취업지원기관은 취업희망학생 정보와 기업구인 정보를 공유하고,
- 취업박람회 및 학교-기업 간 순회 설명회 등을 공동으로 개최하여 특성화고 학생과 기업간 매칭을 적극 지원한다.
< 우수지역인재 육성 >
□ 전라남도와 전라남도교육청은 전남지역의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인재양성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해 현재 운영중인 산·학·관 지원활동*을 더욱 강화한다.
* 1교-1사 산학협력, 1교-1기업유치 운동
ㅇ「1교 1사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산업체에는 숙련된 기능인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좋은 취업처를 제공하며, 지자체에는 지역 경제발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산·학·관 모두가 윈(win)-윈(win)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ㅇ 전라남도와 전라남도교육청은 지난 5월 1교-1사 산학협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주)스틸플라워, (주)샘택, (주)에스제이금속 등 11개 전남 신규 투자기업과 11개 특성화고간 연계를 추진하여,
- 기업으로부터 제품기술 특강, 전문가 초청교육 강사 지원, 신규인력 채용 시 해당학교 졸업생 우선 채용 등 지원을 받았다.
- 전라남도와 전라남도교육청은 ‘12년에 참여 기업체와 참여 학교 수를 대폭 확대하기로 하였다.
□ 전라남도와 전라남도교육청 등 14개 협약기관은 특성화고 학생의 우수 중소기업 탐방, 교원·학생을 대상으로 산업체 현장연수를 확대, 기업과의 공동교재 개발 등을 추진하여 우수한 지역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한다.
< 교육기부 활성화 >
□ 전라남도와 전남교육청은 지자체, 기업, 공공기관 등 지역사회와의 다양한 연계ㆍ협력 운영모델을 개발하여 일반화하고, 예향 전남 특성을 살린 문화ㆍ예술 분야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기로 하였다.
ㅇ 특히, 도서벽지 등 지역적으로 소외된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기부를 전남교육의 발전을 위한 핵심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 전남지역 기업들은 지역 학생과 교사들을 위해 기업의 특성과 장점들을 적극 활용한 교육기부 프로그램들을 확대 추진한다.
ㅇ 대표적인 사례로 GS칼텍스는「해양크루즈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다도해 문화 탐방 기회를 제공하며, 현대삼호중공업은 전남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직업교육 지원, 직업현장 체험학습, 명장 강의를 제공하고, 광주은행은 취업지원 및 금융교육 지원을, 대한조선(주)은 우수학생 우선 채용 등을 지원한다.
□ 또한, 대학, 연구소, 박물관ㆍ미술관 등의 교육기부 참여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ㅇ 목표해양대학교와 전남교육청이 협력한 ‘선상무지개학교’와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의 ‘우주체험 프로그램’ 등이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필요한 경우 교육기부 참여 기업과 단체 등에게 교육기부 프로그램 개발 및 컨설팅을 지원하며,
ㅇ 교육기부 공급자와 수요자의 연결, 우수사례 발굴·홍보, 우수 교육기부 기관에 대한 ‘교육기부마크' 부여 등을 통해 전남 지역 교육기부가 활성화되도록 협력할 계획이다.
□ 앞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전라남도, 전라남도교육청 및 전라남도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은 협약 사항의 성실한 이행을 위해 전라남도 주관으로 실무협의회를 운영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