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만9000명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2011년 11월 현재 취업자는 2458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 늘었다"고 밝혔다.
1~11월 평균 취업자가 전년동기대비 41만3000명 증가하며 지난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호조세를 보였다. 다만 작년 11월 인구주택총조사가 실시되며 공공행정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9000명 줄었다.
재정부는 "지난해 11월 조사요원 11만6000명이 취업자로 전환되며 공공행정 취업자가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취업자 증가에 따라 고용률(59.7%)도 전년동월대비 0.5%포인트 올랐다. 특히 OECD 비교 기준 15~64세 고용률은 64.4%로 작년 같은 달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경제활동인구가 크게 증가하면서 경제활동참가율(61.4%)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이에 따라 전체 비경제활동인구가 전년동월대비 1만9000명 감소한 가운데 구직 단념자도 3만3000명 줄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11월 실업자는 73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000명 줄었다. 성별로는 남자는 1만8000명(-3.7%) 줄고, 여자는 1만명(4.0%) 늘었다.
실업률은 2.9%로 작년 같은 달보다 0.1%포인트 하락했고, 15~29세 청년층의 실업률은 6.8%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취업자가 52만5000명 늘며 일자리 창출을 주도했다.
서비스업 취업자는 보건ㆍ복지(11만3000명), 전문ㆍ과학ㆍ기술(6만7000명), 금융ㆍ보험(5만6000명), 출판ㆍ영상ㆍ통신ㆍ정보(5만2000명) 등 유망 업종에서 일자리가 꾸준히 증가했다.
또 도소매업(10만9000명), 운수업(6만4000명) 등도 호조를 보이면서 큰 폭의 증가세가 이어졌다.
반면 제조업은 8만5000명 줄어 4개월째 감소했고, 농림어업도 1만2000명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 중심의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고 임금근로자 대비 상용직 비중도 늘어나 고용의 질도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자영업자는 전년도 부진의 영향과 최근 도소매업의 호조 등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만5000명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 수는 20대가 작년 같은 달보다 4만명, 30대가 5만7000명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다. 특히 50대 이상 취업자 규모가 커졌다.
재정부는 "베이비붐 세대가 50대에 진입하고, 고령화 등으로 50대 이상 인구 규모 자체가 크게 증가했다"며 "반면 청년층과 30대는 저출산의 영향 등으로 인구 규모가 줄면서 취업자 절대 규모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 "연령대별 취업자 증감에는 인구이동 효과가 포함돼 있으므로 연령대별로 실제 새롭게 창출된 일자리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청년층만 놓고 보면 인구 감소(전년동월대비 -12만7000명)에 비해 취업자가 적게 감소(전년동월대비 -3만6000명)하면서 고용률(42.2%)이 5개월 연속 상승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재학ㆍ수강 및 취업준비 등이 감소하면서 청년 실업률(6.8%)과 청년 경제활동참가율(43.1%)이 함께 올랐다.
연령대별로는 주취업 연령층인 25~29세의 고용 호조세가 이어졌으나, 재학 연령층인 20~24세는 고용 개선이 부진했다.
재정부는 "서비스업 취업자가 증가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그간 부진했던 건설업 취업자가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이라며 "여성 및 고령층의 취업활동 확대, 자영업 구조조정의 완화, 근로시간 단축 등 취업구조의 변화도 전체 취업자 증가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12월에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고용개선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인력부족이 지속되고 워크넷의 구인ㆍ구직자 비율이 6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민간 고용여건이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진단했다.
재정부는 다만 "지난해 12월 취업자가 45만5000명을 나타내며 호조를 보여 이에 따른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 부진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은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인력정책과(02-2150-2812)
작성. 기획재정부 미디어기획팀 곽승한(shkwak@mos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