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연령 높아지며 30대 여성 불임 증가, 남성불임 증가율 높아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불임(N46, N96~N97)’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14만8천명에서 2010년 18만4천명으로 5년간 약 3만6천명이 증가(24.4%)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8%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6년 143억원에서 2010년 203억원으로 5년간 약 60억원이 증가(42.0%)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9.4%로 나타났다.
□ 불임 진료인원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이 34,811명, 여성이 149,765명으로 여성이 남성의 4.3배로 나타났다. 반면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11.3%로 여성의 4.8%에 비해 2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불임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가 가장 많은 것(남성 73%, 여성 66.7%)으로 나타났다.
- 여성의 가임연령은 20~40대로 불임은 거의 대부분이 이 연령구간에서 발생한다(남성 97.7%, 여성 99.6%). 초혼연령이 지속적으로 높아져감에 따라(2010년 기준 남성 31.8세, 여성 28.9세(기획재정부 발표자료, 2011.9.15)) 20대의 불임이 낮아지고, 30대의 불임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 심사평가원 전운천 상근심사위원은, 불임이란 1년간 별다른 피임을 하지 않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 불임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남성 또는 여성의 생식세포의 발생부터 정자와 난자의 수정, 수정된 배아의 발달, 배아의 자궁 내 착상까지 전 과정 중 한 단계에서라도 이상이 있으면 불임이 될 수 있습니다.
? 불임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명확히 이야기하기 어렵습니다. 자궁강유착증 등은 이전에 앓았던 골반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골반염은 유산 수술 후의 감염, 성매개성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전한 성생활로 이러한 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추후 불임의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