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해외농업개발에 나서는 민간기업에 대한 지원규모가 줄어든 것은, 총지원규모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사업 참여기업이 증가함에 따른 것이라고 7월21일 설명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960년대 남미 농장개발을 시도한 이후 간헐적으로 민간기업의 해외농업 진출이 있었으며, 정부는 2009년부터 기업의 해외농업개발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작년 기업당 투자규모가 2007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2009년부터 정부가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신규 진출기업 수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해외 신규진출 기업수는 2008년 17개 업체에서 2009년 18개 업체로, 2010년에는 33개 업체로 늘었다. 이에 비해 정부지원 융자금은 2009년과 똑같은 210억원이었다. 따라서 신규진출 기업이 많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기업당 지원할 수 있는 투자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또 작년 말 기준 농업분야 해외진출 기업 68개 업체 중 68개 업체가 한국 정부와 투자보장협정을 맺은 국가에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농식품부의 올해 해외농업개발 융자예산은 300억원이며, 경영컨설팅 및 조사 지원 예산은 200억원이 아니라 20억원이라고 정정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