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30일(월) 아침 제66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노조의 불법파업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불공정 사례에도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유성기업 파업과 관련, “연봉 7000만원을 받는다는 근로자들이 불법 파업을 벌이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며 “기업 한 곳의 파업으로 전체 산업을 뒤흔들려는 시도는 이제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평균 2000만원도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아직 많은데 그 세 배 이상 받는 근로자들이 파업을 했다”고 지적하며 “이번 경우는 단순히 그 기업만의 파업이 아니라 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민들을 불안하게 했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이 발표한 세계경쟁력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노사관계 경쟁력은 59개국 가운데 53위에 머물렀다”며 “그간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를 꺼리는 요소 중의 하나로 늘 노사문제가 지적돼 왔던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노사간 대립이나 파업 없이 협상이 타결되는 등 우리 노사문화도 상생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며 아주 좋은 현상이다”면서 “이러한 상생의 노사문화가 정착된다면, 생산성이 높아져서, 인건비가 다소 높더라도 국내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의 험한 파도를 헤치고 전진하고 있는 지금,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흔들림 없이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며 “근로자와 기업, 그리고 정부가 한 마음으로 노력해서, 올해를 상생경제가 확고히 자리 잡는 해로 만들어 나가자”고 당부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저축은행 비리 사건으로 인해 서민들이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크게 분노하고 있어 정말 가슴 아프고 깊이 고민하고 있다”며 “저축은행 비리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히 다스리겠다는 당초 약속대로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