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 2010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분석 결과 12월 현재 373만여명의 어르신들께 기초노령연금을 지급하였다고 밝혔다.
기초노령연금을 받은 어르신은 지난 ’09년 12월 363만명에서 지난 ’10년 12월 373만명으로 10만명이 증가한 것이다.
지난 ’10년 기초노령연금 지급액은 노인 단독가구 9만원, 부부가구 14만 4천원으로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총 3조 7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되었다.
한편, 시도별 기초노령연금 수급률을 보면, 전남이 85.5%로 가장 높았고 경북(80.4%), 전북(79.3%) 순이었으며, 서울시가 51.3%로 가장 낮았고 경기도가 58.6%로 그 뒤를 이었다
시군구별 수급률은 전남 완도군이 9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 서초구는 26.5%로 가장 낮은 수급률을 보였다.
특히 농어촌 81개 지역 중 57개 지역이 수급률 8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지역에 비해 기초노령연금의 혜택을 받는 비율이 높았다.
성별로는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있는 전체 노인 중 남성이 34.9%, 여성은 65.1%로 여성이 기초노령연금의 혜택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평균수명이 더 긴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노인 중 70대가 185만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49.7%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높았다.
연령대별 노인수 대비 수급자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80대로 80대 인구의 82.3%가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있었다.
가구유형별로 보면, 노인 단독가구인 수급자가 52.6%로 노인부부가구 수급자 47.4%보다 비중이 높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