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서울시민 1,000명 대상 ‘창업 수요조사’ 결과 발표
서울에 살고 있는 시민들은 창업 업종 중 외식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창업에 관심있는 20대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창업 수요조사 결과를 4일(수) 발표했다.
희망하는 창업분야, 외식업>유통?서비스업>쇼핑몰>패션>실버.복지 순
희망하는 창업분야는 ‘외식업(39.5%)’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유통.서비스업’(8.6%), 쇼핑몰(6.7%), 패션(5.9%) 등이 뒤를 이었고, 실버/복지(5.8%)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은 모든 연령대에서 선호하였는데, 특히 여성과 20~30대에서 43%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50대는 유통/서비스분야, 60대 이상은 실버/복지분야에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0대는 쇼핑몰(9.1%), 오픈마켓(5.3%), 소셜커머스(5.8%), 스마트앱(5.3%) 등 인터넷을 활용한 창업수요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온라인, 30대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40대는 독립점포 창업 선호
창업형태는 ‘독립점포’(40.3%), ‘프랜차이즈 가맹점’(29.6%) 등 점포형 창업을 대다수가 선호하고 있었으며, ‘온라인창업’(19.2%)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 선호비율이 34.5%로 남성의 24.4%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창업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연령대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온라인창업은 20대,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은 30대, 독립점포 창업은 40대, 기업형 창업은 50대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창업비용은 5천만원(34.3%)이 가장 많았고, 3천만원 이하도 30.4%를 차지하여 대다수의 창업희망자가 5천만원 이하의 소자본 창업을 원하고 있었으며, 자금 조달방법은 ‘자기자본’이 월등히 높았다.
여성은 ‘3천~5천만원’, 남성은 ‘5천~1억원’ 수준의 창업비용을 예상하고 있었으며, 연령별로는 20대와 50~60대는 5천만원을, 30~40대는 1억원을 예상하고 있어 중년층이 가장 공격적인 창업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금 조달방법은 모든 연령대에서 ‘자기자본’(58.2%)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창업준비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아이템 선정(41.4%)과 자금확보(33.0%)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아이템 선정’ (41.4%)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창업자금 확보’ (33.0%)를 꼽았다.
여성은 창업아이템 선정이나 창업정보에 대해 남성보다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남성은 창업자금에 상대적으로 애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준비 기간은 ‘6개월~1년’(30.3%)이 가장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6개월’을 응답한 경우도 25.8%나 되어 절반 이상이 3개월~1년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창업준비 기간에 대해 남성과 여성이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2년 이상의 장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여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창업중이거나 창업을 준비중인 사람들은 3~6개월의 준비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나, 연령대가 낮거나 창업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2년 이상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대다수 시민들 창업교육 경험 없어, 창업교육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2.2%에 불과하여 대다수의 응답자가 창업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을 희망하는 분야 역시 ‘외식업’(22.0%)이 가장 높았으며, 유통/서비스업(15.1%), 쇼핑몰(11.2%) 등이 뒤를 이었다.
창업교육 기간은 ‘1개월’(39.0%)을 가장 선호했으며, 창업교육을 받는 시간은 ‘주말’(32.3%)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수요조사결과 반영해 창업교육 및 컨설팅 대폭 개선.확대
이번 수요조사는 창업에 관심있는 서울시민중 1,0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남성 487명, 여성 513명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3. 24~4. 7까지 15일간 이루어졌으며, 전문조사기관인 ‘와이즈리서치’에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서울시는 이번에 발표한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선호도가 높은 외식업, 유통.서비스,패션업종 등에 대한 창업교육 과목을 확대하고, 청년.여성.장년층 등 대상별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창업단계별 상담기능을 세분화하고, 온라인 상담창구를 활성화하는 한편, 창업아이템 매뉴얼 작성, 창업교육 수료생에 대한 사후관리 및 컨설팅 강화 등 수요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연간 26,000명의 창업교육을 목표(’10년 목표 : 12,910명)로 하여 서울산업통상진흥원(SBA)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창업교육을 확대 개편하여 4월말 현재 6,400여명이 e-창업스쿨을 수료하였으며, 서울신용보증재단에서 운영하는 창업아카데미를 통하여 4,800여명이 수료하였다.
송호재 서울시 창업소상공인과장은 “이번 창업수요조사를 계기로 시민들이 원하는 내용들이 파악된 만큼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확대 등 다양한 창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민들이 체감하는 시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