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푸른서울 가꾸기’ 사업 일환, 주민이 신청한 자투리땅 182개 55,511㎡
서울시는 동네주변 자투리땅을 주민이 신청하면 수목과 비료를 지원하는 '푸른서울 가꾸기' 사업대상지로 182개소 55,511㎡의 자투리땅을 선정하고, 신청한 주민 4,597명이 식목일인 4월5일부터 182개소에 총 14만 그루 나무와 4만8천포기 우리꽃을 심는다고 밝혔다.
신청면적 2~21,804㎡, 신청인원도 1~900명으로 각양각색, 다양한 도시녹화 가능
주민들이 직접 찾아낸 자투리땅은 동네골목길, 집을 짓고 남은 땅, 도로변 및 담장주변 공지, 생울타리 등 면적이 최소 2㎡에서 최대 21,804㎡의 사회복지시설까지 다양한 공간이었으며, 신청자들도 1명에서 900명(학교)까지로 다양했다.
가장 작은 2㎡의 자투리땅은 은평구 갈현동 12-450, 서대문구 남가좌2동, 5-314, 금천구 시흥동 249-3번지 3개소였고, 10㎡ 이하의 대상지가 총 19개소나 되어 작지만 의미 있는 녹지공간이 많았다.
가장 큰 부지는 강동구 고덕동 317번지의 사회복지시설로 총 27명의 주민이 총 21,804㎡를 녹화할 예정이며, 이 외에도 1,000㎡ 이상의 대상지가 7개소였다. 나머지 156개소는 대부분 수십㎡에서 수백㎡의 규모였으며, 평균면적은 300㎡ 수준이었다.
참여주민수별로는 강남구 청담동 3㎡크기의 자투리땅에 1인이 신청한 사례가 가장 적었고, 도봉구 창5동 가인초등학교내 공지에 900명의 학생으로 신청한 대상지가 가장 참여인수가 많았다.
이 외에도 관악구 남태령고개 도로변에는 수도방위사령부 군인 500명이 나무를 심을 계획이며, 서초구 염곡동 213-11 일대 300㎡에는 300명이 참가할 계획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동구가 가장 넓은 22,181㎡였으나 개소수는 4개소로 가장 작았다. 이에 반대로 강북구는 11개소로 대상지는 가장 많았지만 면적은 291㎡로 가장 작았다. 참여 주민수는 은평이 25명으로 가장 작았고, 도봉이 979명으로 가장 많았다.
우리꽃 수목과 부엽토 3,900포 등 5억원 지원, 4/5~22까지 주민이 직접 식재
서울시는 ‘푸른서울 가꾸기’ 사업을 통해 나무와 우리꽃, 수목 활착을 돕는 부엽토 3,900포 등으로 5억원의 예산을 자치구별로 지원하였고, 식목일부터 시작해 4월22일 지구의 날까지 녹화를 마친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푸른서울 가꾸기' 사업을 통해 '98년부터 작년까지 주민참여를 통해 총 485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가구당 1.1그루의 나무를 심는 성과를 거둔바 있다.
최광빈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매년 사업을 해도 매년 대상지가 새롭게 발굴되는 것은 주민들이 도시녹화에 많은 애정을 가지는 증거”라며, “크고 작은 규모를 떠나 한뼘의 작은 공간이라도 시민이 직접 찾아 가족.이웃들과 함께 마을을 푸르게 가꾸고, 이를 통해 이웃과 친해지고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