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변비(K59)질환’의 진료환자가 2002년 92만7천명에서 2009년 142만8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7년간 1.5배 증가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가 많고, 연도별 추세는 남성은 41만명에서 63만명으로 1.5배, 여성은 52만명에서 80만명(2009년)으로 1.6배 증가하였다.
200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변비질환(K59)으로 진료받은 남성은 80대이상 > 9세이하 > 70대 순(順)이고, 여성은 9세이하 > 80대이상> 70대 순(順)으로 나타났다.
변비질환(K95) 10만명당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10대로서 증가율이 7.33%이었고, 80세이상도 7.32% 증가로 나타났으며,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대 증가율이 7.80%로 가장 높았으며, 여성은 10대가 7.65%로 가장 높았다.
“변비질환”의 입내원일수는 2002년 177만일에서 2009년 247만일로 증가하였다. 남성은 78만일에서 109만일으로 1.4배 증가하고 여성도 99만일에서 138만일으로 1.4배 증가하였다.
진료비를 보면 2002년 397억원에서 2009년 744억원으로 약 1.9배 증가하였고, 급여비는 2002년 269억원에서 2009년 506억이었다. 요양기관종별로 변비질환으로 진료환자는 상급종합병원 등 병원급에서도 많았다.
상급종합병원 변비환자는 2만 3천명에서 3만 5천만명으로 1.5배 증가하였고, 종합병원은 10만명에서 16만명으로 1.6배 증가, 병원은 8만명에서 15만명으로 증가하였다.
‘변비’로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2년 397억원에서 2009년 744억원으로 나타나, 2009년 변비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2년보다 1.9배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조용석 교수는 변비질환의 증가원인에 대해 우선 변비는 고령층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질환으로서, 최근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변비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의사와 환자들이 변비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장애를 초래하는 심각한 질환이 아니라고 가볍게 여기면서 검사나 치료에 소홀한 경향이 있었으나, 변비에 대한 병태생리가 이해되고 활발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변비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경우에 대장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의료기관을 찾아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를 원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20세 이하의 경우 일반적으로 야채를 적게 먹거나 섬유질이 부족한 인스턴트 음식을 자주 섭취하고 운동이 부족하게 되면서 변비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