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지난 19일 임시회의를 열고 부산2,중앙부산,전주 및 보해저축은행 등 4개 저축은행에 대해 6개월간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다.
이들 저축은행들은 앞서 모기업이던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조치를 당한 날부터 예금자들이 몰리면서 대량 예금 인출사태가 빚어졌던 곳이다.
부산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조치가 내려진 지난 17일과 18일 이틀 동안 이들 4개 저축은행에서 4,500억원이 빠져나갔다.
한 달 전 삼화저축은행 때만큼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규모여셔 결국 4곳의 추가 영업정지 조치로 이어졌다.
금융당국은 이번 조치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게 감소됐다며 저축은행 예금주들을 진정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영업을 하지 않는 주말에 전격적으로 영업정지를 발표한 것도 이같은 예금인출 사태를 막기 위해서였다.
금융위원회 권혁세 부위원장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 5% 미만 저축은행 등 나머지 저축은행들은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1일 예금인출 사태가 집중 발생한 부산에서 관계기관 회의를 열어 시장안정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회의에는 김 위원장을 포함해 부산시장, 부산 상공회의소 회장,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저축은행중앙회장, 국민은행장, 농협신용대표, 부산지역 금융기관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최근 영업정지된 부산계열저축은행 및 저축은행의 예금자 지원대책은 물론 나머지 저축은행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조기 경영정상화 계획 및 지역 내 기업과 서민의 금융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잇단 저축은행 영업정지 조치로 촉발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진정될지 여부는 이번 주초 분위기에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발표 이튿날 인출된 예금이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때의 62% 수준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만큰 시장의 불안감이 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BIS 자기자본 비율이 5% 미만인 것으로 지적된 일부 저축은행에서는 이번 주초까지 불안감을 느낀 고객들의 예금 인출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BIS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인 저축은행들은 고객 불안감 달래기에 전력을 쏟고 있다.
새누리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인 한화그룹이 200억 원의 예금을 예치해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이다.
우리저축은행은 대주주가 내달 최대 200억 원을 증자할 것으로 전해졌다.
도민저축은행도 이번 주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면서 유동성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우량 저축은행 기준을 현행 BIS 자기자본 비율 8% 이상에서 10% 이상으로 올리는 등 건전성 기준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8.8클럽' 즉 BIS 비율 8% 이상, 고정 이하 여신비율 8% 이하의 요건을 충족하는 100여개 저축은행들이 1차 대상이다.
이들 8.8클럽 저축은행들은 일반 저축은행과 달리 80억원을 초과해 법인 대출이 가능했기 때문에 대규모 여신을 통한 부실의 진앙지라는 지적을 받아 왔다.
금융위는 현재의 BIS 비율 8%인 가입 기준을 10%로 대폭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기능을 소매금융 위주로 한정하고 대규모 부실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예방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