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24일 남북 실무회담을 갖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 우리 정부는 날짜를 바꿔 오는 30일 회담을 갖자고 수정 제의했다.
군 당국은 19일 "북한이 오는 24일 남북 군사실무회담을 열어 군사적 합의 이행과 관련한 현안문제를 협의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 오는 30일 우리측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군사실무회담을 개최할 것을 수정제의하는 전통문을 북측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군당국은 전통문에서 "이번 회담에서 '천안함 피격사건'에 대한 북측의 책임있는 조치와 우리 측에 대한 북측의 비방,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의 긴장완화 문제가 논의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핵심의제인 천안함 사태에 대해 남북간 입장차가 커 만남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앞서 북한은 지난 15일 서해지구 군 통신망을 통해 오는 24일 판문점 우리측 지역에서 '쌍방간 군사적 합의 이행에 따른 현안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남북군사실무회담을 개최하자는 내용의 전통문을 보내왔다.
한편, 북한의 해외홍보용 주간지 통일신보는 남한이 홍수 피해를 입은 북한 주민들을 도와준다고 했지만 정작 지원한 것은 쌀 5천톤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통일신보는 19일 '대북지원의 손'이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남측이 보내겠다는 쌀 5천톤은 북한 전체 주민 하루 분량도 안되는 것이고 그나마 쌀도 나중에 돈으로 받는다는 차관형식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신문은 또 남한이 수해를 입은 동족에게 쌀을 주는 것도 아까워하는데 어떻게 통일기금을 조성할 수 있겠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쌀 5천톤은 무상으로 지원하는 것이라며 차관 형식이라는 북한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이산가족 상봉까지 제의하며 받는 수해 지원이 과거보다 작은 규모인 것에 대해 북한 내부에서 불만이 표출될 것을 우려해 사실과 다른 주장을 하며 남한을 비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