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과 설탕가격 인상에 이어 최근에는 농산물 가격 급등까지 겹치면서 갈수록 서민들의 부담만 늘어가고 있다.
정부는 지난 달 말 발표한 공공요금 인상안을 통해 이달부터 전기요금은 평균 3.5%, 가스요금은 9월부터 4.9% 올리기로 했다.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요금도 이달부터 각각 5.3%, 4.3% 올랐다.
특히 가스요금 연료비 연동제가 재도입됨에 따라 국제유가와 환율이 변동을 감안 가스비도 다음달 평균 4.9% 인상이 예고돼 있다.
CJ제일제당은 이달부터 설탕의 출고가를 연평균 8.3% 올리기로 결정했고, 삼양사도 설탕가격 인상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설탕값이 오르면 설탕을 원료로 사용하는 관련식품에도 가격인상 도미노 현상이 벌어질 수 있어 주목된다.
이밖에 농수산물 등 신선식품의 가격폭등은 가히 '물가폭탄' 수준이다.
통계청은 2일 농축수산물 등 신선식품지수가 지난해보다 16.1% 폭등했다고 밝혔다. 이는 6년 만의 최대 상승폭이다. 품목별로는 무가 지난해보다 107.1% 오른 것을 필두로 마늘 70%, 배추가 61.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계절적 요인을 감안, 농산물 가격의 고공행진이 이달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휴가철을 맞아 국제항공료와 단체여행 경비가 오르면서 개인서비스요금도 꿈틀대고 있다.
정부는 이번달 물가 상승률도 2%대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가불안'이 '양극화', '가계부채 압박'과 함께 '친서민' 정책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의 '친서민 행보'에 맞춰 정부 각 부처가 이달부터 '친서민 대책'을 줄줄이 발표할 예정이다. 우선 서민경제 회복과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대책을 이달 말쯤 발표할 계획이다. 기존의 납품단가 관행에 제동을 거는 것은 물론, 각종 세제지원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나올 물가대책은 유통구조 개선, 가격정보공개 확대, 진입규제 제거를 통한 시장경쟁 촉진 등 구조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당장 이달부터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이 오르고, 설탕값 등 공산품 가격도 들썩이는 상황에서 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물가대책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정부의 친서민 의지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줄 리트머스 시험지는 내년도 예산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재정건전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다 4대강 사업 추진 등으로 쓸 수 있는 재원이 줄어들어 친서민을 위한 예산 확충이 제대로 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