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가 29일 사퇴 의사를 공식 표명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세종시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저는 오늘 국무총리직을 사임하고자 한다”며 “지금이 국가의 책임있는 공복으로서 사임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 판단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그동안 국가운영의 원칙을 바로 세우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로하며 사회의 그늘진 곳을 밝게 하는 균형추의 역할을 하기 위해 혼신을 노력을 다했다"며 "그러나 당초 생각했던 일들을 이루어내기에 10개월이라는 시간은 너무 짧았고 우리나라의 정치지형은 너무 험난했다"고 말했다.
특히 정 총리는 '세종시'와 관련해 "무엇보다 백년대계를 위해 세종시 수정안을 마련했지만 이를 관철하지 못한 점은 개인적인 아쉬움의 차원을 넘어 장차 도래할 국력의 낭비와 혼란을 방지하지 못했다는 자책감을 불러 일으킨다"고 평가했다.
또한 여러번에 걸친 사의 표명 이후에도 국무총리직을 지킨 이유에 대해서 그는 "6.2 지방선거부터 7.28 재보궐 선거에 이르는 일련의 정치활동 속에서 자칫 동요할 수 있는 정부의 근무 기강을 확립하고 국정의 중심을 잡아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다행히 7.28 재보궐 선거가 마무리된 지금, 주요 정치 일정이 일단락되면서 대통령께서 집권 후반기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여건과 계기가 마련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로써 취임 10개월 만에 총리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정 총리는 후임 총리가 임명될 때까지는 집무를 계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가 사퇴를 결정함에 따라 내각 인적개편 작업에도 가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높아 애초 이르면 다음달 9, 10일께로 예상됐던 개각이 앞당겨지는 게 아니냐 관측도 나오고 있다.
후임 총리로는 김덕룡 대통령 국민통합특보, 이석연 법제처장,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이완구 전 충남지사, 조무제 전 대법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으나, 친박계를 포함해 ‘제3의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시각도 있다.
정 총리는 지난해 9월 말 취임 이후 세종시 수정안 관철을 내걸고 의욕적으로 일해왔으나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서 입지가 악화됐다. 야권은 물론 한나라당 등 여권 내부에서도 사퇴론이 제기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