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한국의 실업률이 OECD, 즉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최고 수준으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OECD는 한국의 실업률 급등이 일시적인 현상일 것으로 전망했다.
15일 OECD는 고용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1월 계절조정 실업률이 4.8%로 전달의 3.6%에 비해 1.2% 포인트가 늘어 조사 대상 22개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OECD 22개 회원국 중 전달에 비해 실업률이 증가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13개국으로 한국에 이어 아일랜드가 0.5%포인트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서 헝가리, 체코, 폴란드, 포르투갈순이었다.
반면 미국은 실업률이 9.7%로 전달의 10%에서 0.3%포인트 줄어 OECD 전체 1월 실업률이 8.7%로 전달의 8.8%에 비해 0.1%포인트 감소했다. 즉, 한국만 다른 회원국에 비해 전달 대비 최대 10배이상 실업률이 급증한 셈이다.
OECD는 하지만 "한국의 실업률은 노동력이 일시적으로 급증한 결과로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