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가 출범한 이후 2년 간 소형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라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이 더욱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가 2008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2년 동안 서울 아파트 가격을 조사한 결과 서울아파트(재건축 제외)의 3.3㎡당 평균가가 7.84%(1,504만→1,622만 원)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3~66㎡(10평형대)의 소형아파트 가격이 198㎡(60평형)이상의 대형아파트보다 16배 이상 올라 서민들의 집 장만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모양새다.
면적별로는 33~66㎡(10평형대) 아파트 3.3㎡당 평균가가 2년 전에 비해 23.29%(1,052만→1,297만 원) 올라 가장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고, 66~99㎡(20평형대) 13.25%(1,227만→1,390만 원) 99~132㎡(30평형) 6.88%(1,523만→1,628! 만 원) 등 중소형 아파트들은 대부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대형아파트들은 대부분 가격이 하락했다. 132~165㎡(40평형대) -0.47%(1,886만→1,877만 원) 165~198㎡(50평형대) -2.04%(2,553만→2,501만 원) 198㎡(60평형대)이상 0.47%(2,785만→2,798만 원) 등을 기록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처럼 현 정부 들어 66㎡이하의 중소형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것은 투자수요 급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참여정부 시절 DTI규제로 자금줄이 막힌데다 2006년 버블지역을 중심으로 중대형아파트 가격이 고점을 찍으면서 자금부담이 낮은 지역으로 돈이 몰렸다.
몰린 돈은 뉴타운 개발이나 경전철 착공 등 개발호재를 따라 강북지역 중소형 아파트에 투자됐고 이 때문에 정작 내 집을 마련하려던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입게 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