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과 2월에는 희망 근로의 잠정 중단과 고교,대학 졸업생들이 사회로 나오면서 매서운 고용 한파가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고용 비수기인 1~2월에 정부 지원 일자리가 중단되는데다 민간부분 채용마저 거의 없어 지난해 경제 위기에 맞먹는 고용 대란이 우려된다.
희망 근로와 공공사업, 청년 인턴 등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가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실업급여 신청자 수는 7만1885명에 달해 지난해 11월의 같은 기간보다 37.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표적인 공공 부문 일자리 사업인 희망 근로는 대상인원을 지난해 25만 명에서 올해 10만 명으로 줄인 가운데 올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간 실시하기로 해 사실상 1~2월은 일자리 잡기가 힘들 전망이다.
대졸 청년들도 갈 곳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정부는 지난해 청년 인턴 6만6000명을 운영했으나 대부분 정식 직원으로 채용되지 못하고 다시 거리로 내몰렸다.
정부는 청년 인턴제를 6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으나 예산안 통과가 늦어지면서 1월 말 또는 2월에나 본격적인 시행이 가능한 상황이다.
더구나 올해 행정 인턴은 7000명, 공공기관 인턴은 5000명 수준으로 줄어 인턴 자리 구하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기업들의 명예퇴직 바람도 1~2월 고용 시장에 찬바람을 예고하고 있다.
KT는 사상 최대 규모인 6000여명의 명예퇴직을 확정했으며 기업은행도 희망퇴직 등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오는 7일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다양한 일자리 대책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