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녀 차별 의식, 남성 고소득, 정규직, 전문직 많아
한국의 남녀임금 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사회·노동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은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38%의 임금을 더 받아 30개 회원국 중 차별이 가장 심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남녀임금 격차 38%는 OECD 평균 남녀임금격차인 18.8%에 비해 두 배 를 넘는 것이다.
남녀임금격차는 한국에 이어 일본이 33%로 두 번째로 심했으며 독일(23%), 오스트리아(22%), 캐나다·영국(21%), 핀란드·스위스·미국(19%) 순이었다.
OECD는 이같은 한국의 심한 남녀임금격차에 대해 뿌리 깊은 남녀 차별 의식에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고소득, 정규직, 전문직에 많이 종사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남녀고용률 격차 또한 터키 51%에 이어 멕시코(46%), 그리스(32%), 한국은 30%로 네 번째로 심한 국가로 분류됐다. 일본.스페인(29%), 이탈리아(28%), 룩셈부르크(26%), 아일랜드(23%), 호주(20%)가 뒤를 이었다.
재정부측은 "한국의 노동시장 구조 자체가 아직 남성 위주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남녀 임금 및 고용률 격차가 클 수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최근 여성의 사회 전문직 진출이 늘면서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