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들의 사회적 진출이 늘면서 전문직, 관리직 비율도 높아지고 았으나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임시직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여성차별이 여전하다는 사실이 통계청이 6일 여성주간을 맞아 발간한 '200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서 드러났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 가운데 임금 근로자 비중은 69.6%로 남성(68.1%)보다 높았지만 상용직은 29.9%로 남성의 44.2%에 크게 못 미쳤다. 반면 임시직 29.7%(남성 15.6%), 일용직 9.9%(남성 8.3%) 비중은 남성보다 높았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0.0%로 2006년(50.3%) 이후 2년째 줄었다. 남녀 차이는 10년 전 28% 포인트에서 지난해 23.5%포인트로 좁혀졌다.
여풍 곳곳서 실감
작년 공무원 합격자 중 여성의 비율은 외무고시가 65.7%로 가장 높았고 행정고시는 51.2%, 사법고시는 38.0%였다. 제18대 여성 국회의원 수는 41명으로 전체 299명 중 13.7%를 차지했다. 이는 2000년(16대), 2004년(17대)에 비해 각각 7.8%포인트, 0.7%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여성 가구주 비율 상승 지속
2009년 총인구 4874만7000명에서 여성인구는 49.8%인 2426만5000명으로 남성인구보다 21만6000명 적었다. 하지만 60세 이상 노령층 여성인구는 415만7000명으로 같은 나이대 남성인구 313만6000명에 비해 102만1000명이나 많다. 여성 가구주 비율은 374만9000가구로 총가구의 22.2%를 차지, 80년에 비해서는 3.2배, 90년대에 비해서는 2배 이상 증가했다.
남아선호 퇴색
출생성비(여아 100명에 대한 남아출생수)가 2007년 기준으로 106.2명을 기록,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출생성비는 98년 110.2명에서 꾸준히 낮아진 것으로, 정상 출생성비를 103~107명으로 보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정상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출산율 다시 꺾여
최근 소폭 회복세를 보이던 출산율은 다시 낮아졌다. 2008년도 합계 출산율(가임여성 1명이 나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19명으로 전년대비 0.06명 출었다. 특히 25~29세 연령대의 출산율이 대폭 낮아진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만혼화 추세
2008년 여성의 초혼 연령별 구성비는 25~29세가 56.8%로 여전히 가장 높았지만 2007년 57.6%에 비해서는 0.8%포인트 낮아졌다. 이에 비해 30~34세 구성비는 21.5%로 전년도의 19.7%에 비해 1.8%포인트나 뛰었다. 35~39세 비중도 2007년 3.8%이던 2008년 4.2%로 올라섰다.
여성 평균수명 82.7세
2007년에 여자가 82.7세로 남자(76.1세)보다 6.6세 오래 살았지만 남녀 간 차이는 1985년(8.4세)을 정점으로 줄고 있다. 여성 10만명 당 사망자는 전년보다 3.5명 줄었지만 남성은 2.2명 늘었다. 남자 사망률이 여자보다 1.2배 높았다. 남녀 모두 사망원인 1위는 암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