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곡물 가격 급등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국내생산/국내소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태곤 연구위원은 6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를 기초로 OECD 회원국의 곡물 자급률(2003년 기준 통일)을 계산해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25.3%로 29개국 중 26위라고 밝혔다.29위인 아이슬란드가 북극권의 섬나라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각각 27∼28위인 일본(22.4%)·네덜란드(21.2%)와 함께 자급률 최하위 3대 국가 가운데 하나인 셈이다.반면 프랑스(329%)·체코(198.6%)·헝가리(153.7%)·독일(147.8%)·슬로바키아(140.6%) 등은 100%를 크게 웃돌며 1∼5위를 차지했다.김 위원은 “자급률 수준은 식량 안보의 중요한 지표”라며 “세계적으로 1인당 농지면적이 작은 반면 소득 수준이 높고 인구가 많은 일본·한국·중국 등이 곡물을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이에 따라 최근 남·북미를 상대로 동아시아 3개국이 수입 쟁탈전을 벌이는 구도가 굳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이 같은 불안한 식량 수급 구조 아래 최근 심화되는 수출국의 수출 규제에 맞서 안정적 물량을 확보하려면 품목별로 3∼4개국 으로 수입선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