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우리 경제의 5% 성장을 낙관하던 주요 투자은행(IB)들이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5% 성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전망치를 내려 잡았다.이러한 태도 변화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부실, 고유가, 인플레이션 등으로 미국 및 세계경제가 침체할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경제의 하방위험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10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BNP파리바·골드먼삭스·JP모건·리먼브러더스·모건스탠리·UBS·도이체방크·씨티·메릴린치 등 9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이 올 들어 보고서를 통해 밝힌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4.7%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8월 8개사 조사(5.0%)보다 0.3%포인트 낮다.기관별로는 메릴린치가 가장 높은 5.5%를 제시했고, BNP파리바와 골드먼삭스도 여전히 우리 경제가 올해 5%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JP모건과 모건스탠리는 각각 4.8%의 성장률을 전망했고, 리먼브러더스와 씨티는 각각 4.6%의 성장률을 제시했다. UBS는 4.1%를, 도이체방크는 9개 기관 중 가장 낮은 3.9%의 전망치를 내놨다.이들 투자은행이 제시한 내년도 전망치 역시 5%를 밑돌았다. 평균 전망치는 4.9% 였고, 골드먼삭스(5.3%), 리먼브러더스(5.3%), 모건스탠리(5.3%), JP모건(5.1%), BNP파리바(5.0%) 등은 5% 대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씨티(4.8%), 메릴린치(4.7%), UBS(4.2%), 도이체방크(4.0%) 등은 5% 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