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6일 금강산 지역 철수 현황과 관련, “5일 현재 금강산에서 골프장 관련 업체 등 관계자 21명이 자진 철수했다”고 밝혔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서울 정부중앙청사 별관 합동브리핑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힌 뒤 “이는 북측 요구에 의한 추방이 아닌 자진철수”라고 말했다. 5일 철수한 인원은 금강산 골프장 관련 사업자인 에머슨퍼시픽 직원 16명, 농협 직원 1명, 기타 협력업체 관계자 4명 등 21명이다. 김 대변인은 “오늘도 아마 자진 철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기본적으로 관광객이 몇백명 씩 가는 것을 전제로 파견된 인원이기 때문에 경제성의 논리에서 볼 때도 관광객이 전혀 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인원이 근무하는 것은 맞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앞으로 최소한의 잔류 인원은 난방 등 건물 관리, 시설 감독 등 인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6일 오전 현재 금강산 지역에는 내국인 227명, 외국인 508명 등 735명이 체류 중이다. 김 대변인은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거론된 것과 관련, “정부에서 최근 제작한 상생공영의 대북정책 홍보 리플릿에 보면 인도적인 문제는 정부에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해나가겠다고 소개하고 있다”면서 “그중 하나로 인권문제도 적시됐다. 그 맥락에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5일자 북한 중통에 의하면 북한 지역에서 무더기 비로 인해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있다”며 “강수량이 300mm 이상인 강원도 지역과 짧은 시간 집중호우가 내린 평안남도 성천지역에서 일부 일상적인 피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예년 수준의 홍수피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는 관계부처 보고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강산 피살사건과 관련, 현대아산에 형사책임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며 “경찰 조사 결과에 대해 합동조사단에서 거론됐을지는 모르지만 통일부에서 공식적으로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