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 상황판단 후 대응…“무장단체와 직간접 접촉 중”
아프가니스탄에서 피랍된 한국인들의 조기 석방과 무사 귀환을 위한 정부의 전방위 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아프가니스탄으로 급파된 외교차관급 정부합동 대책반이 22일 현지에 도착,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조중표 외교통상부 제1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정부합동 대책반은 22일 오전 아프가니스탄 현지에 도착, 아프간 주재 한국대사관에 설치된 현장 지휘본부와 함께 피랍 한국인들의 무사귀환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정부합동 대책반은 아프간 정부는 물론 현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 영국 독일 등 동맹군 국가 관계자들과 만나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현지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해 이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합동 대책반은 당초 대사급이던 대책반장을 외교통상부 1차관으로 격상시켰으며, 조 차관 외에 문하영 전 우즈베키스탄 대사, 외교부 실무진을 비롯한 한 관계부처 관계자 등으로 구성됐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최우선 순위는 우리 국민의 신속하고 안전한 귀환이기 때문에 주어진 객관적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찾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무장단체와 직간접적인 접촉을 유지하고 있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피랍자들의 안전을 계속 확인중”이라며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윤곽이 분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협상 마감시한 연장’ 등 외신 보도와 관련해서는 “상황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며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부는 한 가지 사실에 치중, 판단을 흐리지 않기 위해 상황을 냉철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21일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피랍 가족들과의 면담 후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회견을 갖고 "가족 중 파병된 부대 문제를 거론한 분이 있어 이 문제를 포함, 모든 방법을 강구해 최대한 노력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어떤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가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앞서 송 장관이 밝힌 대로 당초 예정에 따라 올해 말까지 철수한다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장단체의 요구가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 작업을 병행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라며 "종합적으로 검토해 대응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대책반 활동과 함께 정부는 아프간 내 수색작업이 무장단체를 자극해 납치된 한국인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보고 수색활동 중단을 관련 국가에 요청했다. 정부는 21일에 이어 22일 오전에도 청와대에서 백종천 안보실장 주재로 외교통상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외교안보 관련 부처 장관이 참석하는 긴급 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현지 상황을 점검하고 피랍자들의 조속한 석방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사건 발생 직후 24시간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간 청와대는 21일 밤에도 안보정책실을 중심으로 관련 부처들과 긴밀한 연락을 유지하면서 조속한 석방을 위한 협상 방안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21일 CNN과 국내 TV 동시 생방송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 노무현 대통령도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피랍 사태와 관련된 상황을 안보실로부터 보고를 받으면서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