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0주년 6월 민주항쟁 관련인사 초청 오찬간담회
노무현 대통령은 19일 “남은 20년 동안 얘기를 자꾸 하니까 정치 또 할 거냐 묻는데, 한국의 정서가 대통령제 국가여서 대통령을 마친 사람이 정치를 또 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낮 청와대에서 6월 민주항쟁 관련 인사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그러나 여러분들이 정치를 하지 않으면서도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서 노고를 아끼시지 않듯이 저 또한 대통령 한번 살아먹었다고 편안하게 일생을 보낼 생각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젊은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 또 제가 했던 수많은 실수들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도 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수많은 성공의 얘기도 젊은 사람들에게 꿈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장래계획을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지난 17일 열렸던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과의 오찬간담회를 소개하며 “사실과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진실이 우리가 쓰고 있는 사실이다, 그것을 놓고 20년 동안 우리가 평가해 보자, 그때 가서 떳떳해야 된다 얘기를 했다”면서 “또 한편으로는 아직도 역사를 이렇게 가로막고 되돌리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20년의 승부를 경쟁자로서 걸어보자, 그렇게 말씀을, 얘기를 했다. 앞으로 또 그런 자세로 걸어가겠다”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6월 항쟁 20주년을 맞아 “최근에 몇 몇 사람들이 민주세력의 목적이 뭐냐, 무능한 사람들 아니냐, 이런 말씀들을 하고 있다”며 “그런데 저는 87년 이래에 2007년까지 그 사이의 역사를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보면, 우리 한국만큼 큰 업적을 가진 나라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지난 20년간 한국만큼 큰 업적 가진 나라 없다”또 “민주주의에 있어서 가장 빠른, 많은 진전을 이루었고, 경제도 가장 빠르게 성장했고, 개인의 자유도 만발하고 또 민주주의 측면에서 민주적 사회, 인권 사회라는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고 모든 나라들이 실제로 부러워한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특히 지난 20년간 한국 사회가 △특권구조 해체 △법치주의 관철 △부정부패와 관료적 특권 해소 △과거사 정리 등의 분야에서 많은 발전을 해왔다며 “이런 수준에서 본다면 일단 87년 길거리에서 우리 국민들, 특히 항쟁지도부들이 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제시했던 목표는 일단 거의 완결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 분들에게 공개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가슴속에 묻어두었던 여러 가지 목표들이 있을 것”이라며 “묻어둔 부분에 그 소망들이라는 것은 아직 까마득하게 멀다고 판단하는 분들도 있겠습니다만은 저는 그것이 지금부터이고 앞으로 20~30년간 우리 사회의 주된 의제가 아닐까 그렇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함세웅 6월민주항쟁20년사업추진위원회 공동대표는 “저희들은 사실 청와대에 이렇게 한두 번 방문할 때 기도를 드린다. 때때로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이곳이 자유의 전당, 또 민주의 전당, 또 좋은 뜻을 가진 분이 이곳에 계시기 때문에 기쁜 마음으로 기도를 한다”며 “다만 87년의 삶과 정신이 부분적으로는 이루어졌습니다만,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생각하면서 저희들 다시 20년 앞에 목적을 세우면서 우리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6월민주항쟁20년사업추진위원회(상임공동대표 김병오 김상근 청화 함세웅 이규정 이홍길 정현백 조화순)는 지난 14일 박종철 군 사망 20주년 추모제에서 민주화운동자료집과 한국현대사 발간, 국가기념일 제정, 한국민주화운동의 국제화 등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청와대 오찬간담회에는 박형규 목사, 한승헌 변호사, 김병오 전 의원, 청화 조계종 교육원장, 함세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등 15명이 참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