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중소기업 대출에 대해 대대적인 만기연장에 나섰다.
올들어 리스크 관리 강화 차원에서 대출금 회수에 급급하던 은행들은 중소기업의 연체율 상승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은행을 부실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자 부득이 상환기한을 연장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지난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22일 일선 영업점에 공문을 내려보내 만기가 돌아오는 중소기업에 대해 무내입(만기연장때 원금 일부를 상환받지 않음)으로 6개월간 만기를 연장하도록 했다.
또 사업성이 있으면서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선별해 대출이자 감면과 신규자금 지원 등 `프리 워크아웃(Pre-Workout)′ 제도를 적극 시행토록 했다.
국민은행도 최근 전국 영업점에 내려보낸 지침에서 영업점장의 전결권을 확대, 신용등급상 특이 사항이 없는 중소기업들의 만기가 돌아올 경우 일선 영업창구에서 원금상환 없이 최장 1년간 기한을 연장해주도록 했다.
기업은행은 이자를 정상적으로 갚아온 중소기업들에 대해 무내입으로 1년간 기한연장을 허용하고 신용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원금 5∼10를 받고 6개월∼1년간 만기를 늘려주도록 일선 영업점에 지시했다.
신한은행도 지난 22일 영업점에 시달한 공문에서 무내입으로 최장 1년간 기한연장을 허용하고 일시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가운데 사업성과 장래성을 갖춘 기업들을 선별해 사전 워크아웃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했다.
조흥은행은 원금상환 없이 무내입으로 6개월간 상환 기한을 연장해주기로 했다.
은행권 고위관계자는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기업과 은행이 동반부실화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가망없는 기업은 곧바로 채권회수 절차에 들어가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가급적 숨통을 터줘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있다"고 말했다.
올들어 은행권은 중소기업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될 것에 대비해 신규대출은 억제하고 기존 대출을 회수해온 탓에 대출 증가율이 극히 미미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3월말 현재 중소기업 대출잔액이 39조3천12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1.85 증가했고 우리은행은 28억9천35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0.78 늘어나는데 그쳤다.
하나은행은 3월말 현재 19조3천412억원으로 4.5, 신한은행은 16조3천340억원으로 4.8 증가해 각각 10 안팎에 이르렀던 작년 1.4분기의 증가율에 크게 못미쳤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