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분기 부채비 통계작성이후 첫 100%% 하회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이 10개 중 4개꼴로 영업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일부 우량기업의 실적 호조로 제조업체들은 3.4분기중 1천원어치를 팔아 83원을 남겨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경상 적자 업체 비중이 35%로 급증, 기업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우량 대기업이 많은 이익을 내면서 전체 제조업 부채비율은 통계 편제이후 처음으로 100%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 23일 한국은행이 상장.등록 및 금감위 등록법인 1천373개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3.4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은 수출 호조와 금융비용 감소, 순외환이익 등에 힘입어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8.3%로 작년 3.4분기(6.2%) 이후 가장 높았다.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8.3%라는 것은 1천원어치 상품을 팔아 83원을 남겼다는 의미다.
한은 조성종 경제통계국장은 "3.4분기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작년 동기대비 2.1%포인트 개선됐으나 이 중 1.5%포인트는 저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감소, 환율 하락으로 인한 순외환이익 발생 등에 따른 것으로 영업개선으로 인한 효과는 0.6%포인트였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에도 불구하고 경상손익 적자업체 비중이 35.1%로 작년 동기대비 5.0%포인트 , 전분기보다는 6.5%포인트 각각 늘어 기업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영업이익이 금융비용에 못 미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업체 비중은 40.8%로 통계 편제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작년 동기(33.0%) 및 전분기(34.9%) 보다 각각 7.8%포인트, 5.9%포인트 급등한 것으로 일부 우량 대기업들을 빼면 중소기업들의 경우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9월말 현재 부채비율은 99.0%로 한은이 1978년 기업경영에 대한 통계 편제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았다.
그러나 만기 1년 이내의 단기차입금 비중은 53.6%로 1998년말(41.9%) 이후 가장 높았다.
자산운용 면에서는 9월말 현재 조사 대상 제조업체의 유동성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106.7%로 6월말(104.0%) 보다 2.7%포인트 상승했고, 총 자산중 현금예금비중은 전분기 8.2%에서 9.3%로 높아져 기업들이 투자를 하는 대신 현금을 쌓아두는 현상이 심화됐다.
3.4분기 중 제조업의 매출액은 작년 동기대비 3.0%, 1∼9월 중으로는 5.1% 각각 증가했다.
한편 비제조업의 경우 건설업은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5.0%로 작년 동기의 3.3% 보다 상승했고, 도.소매업의 매출액 경상이익률도 작년 동기 2.1%에서 3.5%로 높아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