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나이가 실수하면 용납하기 어렵고 지사가 살려고
백야 김좌진 장군의 고향은 충남 홍성으로, 불과 17세에 자기 집의 노비들을 해방시키고 무상으로 땅을 나누어 주었으며, 80칸이나 되는 자기 집을 학교 교사로 내어주고 자기는 초가집으로 나가 살기도 하여 이웃 어른들을 놀라게 했다. 현재 김좌진 장군의 집터는 홍성의 갈산고등학교의 부지로 이용되고 있다.
김좌진 장군 자신은 어려서 서당 공부를 했고 16세에서 18세까지 2년간 대한제국 무관학교를 다녔을 뿐 다른 정규교육을 받은 일은 없었다. 그런데도 장군의 글씨는 다른 어느 문인보다 뛰어났고 학식 또한 높았다. 문무를 겸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불과 19세에 ‘한성신보’라는 신문사의 이사가 되었고 오성학교 교감이 되었다. 그리고 신민회, 기호흥학회와 같은 단체에 가입하여 애국교육운동에 나섰다. 만일 1910년의 망국이 없었다면 김좌진은 장군이 안되었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김좌진장군은 교육이나 언론만으로 나라를 구할 수 없는 현실을 직시하고 나라를 구하는 길은 무력이라고 판단하여 북간도에 무관학교를 세워 독립군을 양성하기로 결심하였다. 무관학교를 세우려면 무엇보다도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군자금을 모금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옥살이를 하여야만 하였다. 이때 장군은 사내 대장부에게 있어 실패란 용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1918년 12월 ‘대한독립선언서’(일명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군정부의 북로사령부 제2연대장이 되었다. 1920년 9월 제1회 졸업생 298명을 배출하고 이어 일본침략군과 청산리에서 독립전쟁을 치루게 되었다. 이 때 홍범도 장군과 연합하여 일본군 1,200여명을 사살하였으니 세계 전쟁사상 유례 없는 대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독립군은 북간도를 떠나 낯선 시베리아 땅으로 가야만 했다. 장군은 처음부터 시베리아로 가는 것을 반대하고 있었는데 가서 보니 과연 소련 공산당의 독립군 원조는 속임수였다.
다시 간도 땅을 밟은 장군은 옛날 우리의 발해 수도였던 영고탑(발해진)에서 신민부라는 군사단체를 조직하여 새로이 성동 사관학교를 세웠다. 장군은 칠전팔기, 쓰러지면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났다. 그는 교포사회의 통일을 기하기 위해 한족총연합회 주석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0년 1월 24일 박상실이 쏜 흉탄에 맞아 쓰러졌다. 향년 41세. 아직도 많은 일을 남겨 둔 채 유명을 달리하였으니 이처럼 억울하고 분한 일은 다시없었다. 장군의 장례식은 그 곳 교포들의 성대한 사회장으로 치루어졌다. 우리 교포는 물론 중국사람들까지 고려의 왕이 죽었다고 애통해 했다. 광복후 장군의 공로를 기려 대한민국 훈장 중장을 수여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