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발전에 발 맞춰 애니메이션 마리 이야기가 지난 6월 프랑스 안시(annecy)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장편 경쟁부문에서 그랑프리를 받았다. 이어 지난 15일 김대중 대통령은 "정부는 앞으로 영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을 21세기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적극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와쟈키 하야오감독이 만든 전설 같은 작품을 보며 감탄과 한탄을 늘어놓던 시절이 지나고 만화시장이 예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인정받게 된 시대가 온 것이다.
그러나 왠지 씁쓸함을 감출 수 없는 것은 만화산업 발전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이미 수년 전부터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제야 인정 아닌 인정을 받고 발전의 싹이 보인다는 소리까지 듣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만화에 대한 뿌리깊은 고정관념으로 인해 만화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근들어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제 영화제 출품작 목록을 보면 애니메이션이 차지하는 자리는 적지만 절대 빠지는 법은 없다. 비록 수상을 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소재나 표현방법에서 독창적이며 신선하다는 찬사를 달고 다닌다. 한편 이러한 독창성을 만화의 단점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원래 황당해, 이상해, 유치해라며 그것이 만화의 한계인 양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근래들어 환타지 블랙버스터가 흥행하고 환타지 열풍이라는 사회현상까지 낳고 있는데 만화의 환타지만 왜 무시당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어린시절 교무실 단속반에 마음 졸이고 어머니한테 혼이 나고 학원 대신 시간을 보내던 만화방의 이미지가 만화방, 만화 = 어린시절, 숨어서 봐야하는, 허황된, 시간 때우기 등으로 대변되어 우울한 반항기의 종합편쯤으로 깊이 인식되었기 때문은 아닐까.
하지만 현재의 만화는 어둡거나 반항적이지만은 않다.
네트웍 시대에 발맞춰 인터넷에서도 만화를 볼 수 있고 극장에서도 떳떳하게 간판이 내걸린다. 외국에서는 만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가 열리고 어떤 만화 감독은 마치 신처럼 추앙을 받기도 한다. 만화를 비평하는 만화비평가도 생겼다. 우리가 유치한 어린시절 슬쩍 슬쩍 넘겨보던 것이 하나 하나의 철학적 의미로 해석되고, 사회현상과 결부시켜서 풀이된다.
기성세대들의 우울한 회색과 반항의 노란빛이 섞인 만화방의 어두컴컴한 조명과 단속반과의 스릴의 시대는 지났다. 밝은 하늘아래 어깨를 으쓱이며 만화가 상상력을 앞세워 한발 한발 앞으로 나가고 있는 것이다.
바로 그런 취지에서 6인의 작가가 전시회를 열었다. 만화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인식시키고 만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꾸기 위해 지난 7월 24일부터 8월 6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창에서 ‘젊은 만화의 힘, 무한 상상의 자유’라는 주제로 열린 이 전시회에서 이향우, 권신아, IWAN, 이애림, 이태영, 최인선은 자신들만의 환타지를 분출시켰다.
환타지란 주제는 해리포터와 반지의 제왕이 낳은 화면적 환타지, 구성적 환타지가 아닌 단어 그대로의 환타지, 상상력을 뜻한다. 상상, 공상의 표현 자체가 만화이듯이 말이다.
환타지는 꿈이자 이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전시는 젊은 작가들의 만화를 통한 표현무대로 향후 더욱더 다양한 만화관련 행사와 사업들이 생겨날 수 있기를 바라는 기원의 행사였다. 더 이상 만화가 유치한 세계가 아니라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더욱 확고하게 자리매김을 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기획자 김성진씨는 "이번 전시는 만화 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발점에 불과하다. 현재 다음 전시회를 준비중이며 여태껏 보아왔던 전시와는 아주 다른, 만화만이 이뤄낼 수 있는 독특한 전시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은 manhwarang.com을 통해 더 자세히 감상할 수 있다.
<이유정 기자> iyj@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