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복과 특전복, 정복 등 육군의 복장이 현대적 감각과 미래 전장에 맞게 파격적으로 개편된다.육군은 21일 1980년 전후 개정된 후 20년 넘게 유지돼온 군복 체계를 미래 전장 환경과 기능성, 시대감각에 맞춰 새롭게 바꾼 복제개정안을 최근 국방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복제개정안에 따르면 전투복은 얼룩무늬 형태에서 위장막 형태의 더욱 조밀한 무늬(일명 디지털 무늬)로 바뀐다.육군은 전투복 색상과 무늬를 고안하면서 한반도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위장 효과 극대화를 꾀했다고 설명했다. 신속한 착용과 활동 편의성을 고려해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놓고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특전복도 위장효과를 극대화했다. 전투복과 특전복은 미군 전투복을 연상케 한다는 평가다.군모는 활동모와 베레모로 이원화된다. 베레모는 현재의 정모, 근무모, 전투모를 하나로 묶는 통합 군모로 사용되며 활동모는 햇빛을 가리고 빗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립형 창이 부착됐다.또 현재 각각 따로 구분돼 있는 정복과 예복, 근무복은 이른바 ‘통합정복’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된다.육군은 활동모와 특전복은 올 연말과 내년 초부터 보급하고 전투복, 통합정복 등은 국방부 군무회의, 대통령 재가 등을 거쳐 지급할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