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미래’ 진수…독도 주변 바다 에너지원 탐사 가능
우리나라가 미국, 일본, 프랑스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심해 6,000m에서도 탐사작업을 할 수 있는 무인잠수정을 개발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01년부터 6년간 120여억 원을 투입해 한국해양연구원과 함께 개발한 6,000m급 심해 잠수정 '해미래'를 3일 오후 한국해양연구원 거제 장목시험장서 진수한다. 무인잠수정 ‘해미래’는 로봇 팔과 각종 계측장비, 수중카메라, 조명장치 등을 부착하고 심해저 부존자원 탐사와 생물 연구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또 6개의 전동추진기를 이용해 앞뒤, 좌우, 상하로 움직이며, ±5m 오차 범위에서 목표물을 찾아가는 위치추적 기능도 있다. 잠수정 ‘해미래’는 올 하반기부터 태평양 수심 4,800~5,200m 지역에서 광물자원을 찾는 한편, 동해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메탄하이드레이트를 탐사할 계획이다. 국내 연구진의 독자적인 설계로 제작된 ‘해미래’는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 된 심해 잠수정의 60% 가격에서 제작이 가능해 수입대체는 물론 세계 시장에서도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2,500m급 심해 잠수정은 대당 50억~60억 원에 판매되고 있다. 해양부는 이번 잠수정 개발과정에서 확보한 잠수정 본체, 작업로봇 제작기술과 복합항법시스템 등을 국내외 업체에 이전해 산업차원에서 해양탐사장비 부문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앞으로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보유한 심해 지능형 자율무인잠수정(AUV)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심해 잠수정은 심해저 자원탐사 등 과학목적 이외에 해저 구조물 유지보수와 같은 상업목적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조 원대의 시장이 형성돼 있다. 심해 잠수정은 미국이 1990년대 초 6,000m급 심해 무인잠수정 ‘제이슨’을 개발했으며, 일본도 1997년도에 해양과학연구센터(JAMSTEC)에서 1만1,000m급 무인잠수정 ‘카이코’를 개발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