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본동 재개발 주택조합원들은 9일(목) 오후1시30분 광화문에 있는 대우건설 본사 사옥 앞에서 대우건설의 횡포에 규탄 시위 집회를 가졌다.
한 조합원은 시위집회를 하다 기력이 떨어지며 쓰러져 구급차로 이송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주택조합원들의 시위집회 배경은 무책임한 대우건설이 자신들의 방만한 운영과 관리 소홀로 조합에 문제가 생기자 조합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일방적인 PF 대출연장 거부로 조합이 부도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500가구 2000명 가족이 거리로 내몰려 고통에 신음하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다.
조합원들은 투자한 돈 1500억원을 날리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산하 대우건설은 저희땅을 가로채 자기들의 뱃속만 채우려고 한다며 어떻게 나라에 속한 은행의 건설회사가 서민들의 피와 땀을 빨아먹을 수 있느나며 격분하고 있다.
대우건설의 방만한 운영과 시프트 및 인허가 문제로 인한 서울시와 동작구청의 탁상행정으로 4100억원의 돈이 2000명의 가족들의 꿈에 그리던 집이 허공으로 증발해 버렸다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노량진 재개발 조합에서는 제2의 2009년 용산재개발 사태가 재현될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또한 조합원들은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기 시작하였다.
1인 시위를 하는 조합원은 대통령께서 굽어 살펴주시길 간곡히 애원한다며 관련자들을 일벌백계 해주시고 국민들을 보살피는 어머니같은 마음으로 집과 땅을 빼앗겨 고통받는 저희 노량진조합원 가족들을 보듬어 주시기를 간곡히 바란다고 말했다.
2013년 3월28일 대우는 로쿠스의 지급보증을 2015년으로 연장하고 지급보증금액 또한 2500억에서 3200억로 증액했다며, 이같은 행위는 조합원을 배제하고 민영사업을 전제로 한 계획이라고 조합원들은 말하고 있다.
현재 조합부지는 로쿠스의 관리하에 철제 휀스로 막혀 출입이 통제되고 있는 상태이다.
4,100억원대 사업규모로 관심을 받았던 노량진본동 지역주택조합은 2만600㎡(6,200여평) 규모의 부지에 첨단 주상복합 아파트를 건설하는 계획을 확정하여 2007년 시공사와 협약을 맺고 금융권에서 27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통해 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부동산 경기가 호황이고 한강 조망권이 확보되는 이점 등으로 인해 조합원들의 투자비가 몰리면서 사업비 규모는 4100억원대로 알려졌다.
그러나 서울시와 동작구가 재개발사업 기준을 강화하고 부동산 경기침체로 사업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올해 초 대출만기일을 넘기지 못해 사업이 일시 중단됐다.
또한 노량진본동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던 전 조합장 최 씨는 수십억원을 횡령하였다.
검찰은 추적끝에 장기간 지방에서 도피생활을 해온 최씨를 체포하였다. 동작구 노량진본동 재개발 비리를 조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박순철 부장검사)는 최씨가 4100억원대의 재개발사업비를 운영 관리하면서 여러차례에 걸쳐 최근 수년간 수십억원을 횡령한 단서를 잡고 사업비 수십억 원을 빼돌린 의혹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계좌추적과 압수물 분석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여 횡령 자금이 인허가 권한이 있는 구청 공무원이나 시공사인 대우건설 임원, 경찰 간부 등에게 흘러들어가 관련자들은 금품수수 및 뇌물혐의로 줄줄이 구속되었다.
또한 지난 19일 구속기소된 최 전 조합장의 추가 횡령 여부를 확인 조사에서 이 지역의 철거용역을 맡았던 J사를 압수수색했다고 22일 밝혔다.
검찰은 최씨와 J사 간에 자금 거래가 잦았던 점을 감안할 때 최씨가 J사를 통해 횡령한 돈을 추가 세탁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얻은 회계장부와 입출금 내역 등을 살펴보며 미심쩍은 자금 거래를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최씨가 빼돌린 돈으로 재개발 사업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정·관계 인사나 관할 지역 공무원들에게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을 두고 수사 중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