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장관 서남수)는 마이스터고 성과의 지속ㆍ확산 및 졸업생의 성장경로 지원을 주 내용으로 하는 「2013년 마이스터고 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으로 졸업 후 우선 취업 및 기술명장으로 성장을 지원하는 고교 단계 직업교육의 선도모델을 육성하고자 ’08년에 도입된 마이스터고는,
’10년에 21개교(1ㆍ2차 지정교), ’12년에 7개교(3ㆍ4차 지정교), ’13년에 7개교(5ㆍ6차 지정교)가 개교하여 현재 35개교가 운영 중이며,
학교별 특성에 맞는 산학협력 모델 구축을 통해, 올해 2월 졸업생을 처음 배출한 21개교(1ㆍ2차 지정교)의 경우, 졸업생(총 3,375명)의 93.4%가 취업(’13.2월 기준)한 성과를 거둔 바 있다.
* (동아마이스터고) 방과후 주문식 교육반 편성, (충북반도체고) 반도체 유사 직무군별 기업맞춤반 편성, (울산마이스터고) 1학년 전원과 산업체 명장과 멘토링
올해에는, 국가ㆍ지역 전략 산업 분야 및 FTA 등 대비 집중육성 산업 분야 등 기술명장 양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관계 부처 및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마이스터고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추진 일정으로는, 5월에 부처와 협의를 통해 국가적으로 마이스터고 육성이 필요한 산업 분야를 발굴하고, 6월까지 부처별로 해당 분야 마이스터고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 부처 지원(예) : 산하기관 및 산업별 협회 등과 유기적 협력을 통해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컨설팅, 교원 연수, 산학협력 체제 구축 및 취업지원
* 국토부 : 해외플랜트 건설 분야 마이스터고 선정 시, 직무 및 성장경로 컨설팅, 교육과정 개발, 교직원 연수, 해외건설업체와 취업약정 체결 지원 예정
7월에 지정분야 등을 포함한 세부계획을 수립ㆍ발표하고, 10월 중 학교와 시ㆍ도교육청의 지정협의 요청을 받아 12월에 적합학교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일정 및 절차>
주요 추진내용
’13.5월
관계부처와 마이스터고 지정 필요 산업분야 협의
’13.6월
부처, 마이스터고 지원계획 수립 및 교육부에 제출
’13.7월
교육부, 제8차 마이스터고 선정 세부계획 발표
’13.10월 중
시ㆍ도교육청, 교육부에 지정협의 요청
’13.10~11월
교육부(위원회), 제8차 마이스터고 선정 심의
’13.12월 초
교육부, 지정 적합여부 최종 결정 및 통보
’14년
개교 준비(학과개편,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교원연수 등)
’15.3월
제8차 마이스터고 개교
아울러, 노동시장에 진출한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이 지속적으로 경력을 개발하여 ‘한국형 마이스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동일ㆍ유사 분야에서 직무를 지속 수행한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졸업생에 대해 국비 연수 및 유학 기회를 제공하고,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자격을 갖춘 경우 추후 설립예정인 산업기술명장대학원에 우선 선발 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이버대학 특성화학과 확대, 재직자특별전형 확산 등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체제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고용부와 협력하여 일-교육ㆍ훈련-자격이 연계된 ‘과정이수형 자격제도’를 우선적으로 마이스터고에 도입하며, 경력에 대한 학점인정 등을 통해 직무수행능력에 기반한 자격과 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고졸 취업의 성공사례 및 학력위주의 인사제도 개선 계기*를 만들었던 마이스터고를 지속적으로 육성함과 동시에, 졸업생의 성장경로를 보다 구체적ㆍ발전적으로 제시하여,
*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 맞춤형 교육기간(삼성전자 2년, SK하이닉스 1년)을 근무경력으로 인정
* CJㆍ한국수력원자력 등 : 고졸자 입사 4년 후 대졸자와 승진ㆍ임금 등에서 동등 처우
마이스터고 성과를 특성화고와 공유하며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 부처ㆍ지자체ㆍ교육현장과 지속적으로 협력ㆍ지원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