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의도 면적(윤중로 제방 안쪽) : 2.9㎢ (참조. 여의도면적 기준)
《국토면적 증가 현황 2003 ~ 2012》
(단위 : 년, ㎢)
구분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면적 | 99,601 | 99,617 | 99,645 | 99,678 | 99,720 | 99,828 | 99,897 | 100,033 | 100,148 | 100,188 |
◇ 농업 및 산업용지 확보 위한 매립은 지속적 증가
올해 국토면적 증가의 주된 요인은 농업용지 확보를 위한 간척지 신규등록(11.1㎢)이 가장 컸고 인천국제공항 확장사업(8.1㎢)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공유수면 매립, 미등록 토지등록, 토지대장 복구 등에 의한 공부등록이 이루어졌다.
* 붙임 1. 2012년 신규등록 주요현황
◇ 지방자치단체 최대면적은 경상북도, 최소면적은 부산시 중구
17개 시·도 중 국토의 19%(19,028.8㎢)인 경북이 가장 넓었으며, 가장 작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로 국토의 0.5%인 464.8㎢를 차지했다.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넓은 지역은 강원도 홍천군(1,819.7㎢), 인제군(1,620.4㎢), 경상북도 안동시(1,521.9㎢) 순이며 가장 작은 지역은 부산광역시 중구(2.8㎢)로 확인되었다.
2012년 국토의 행정구역 변화는 ‘12년 7월1일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가 있었다. 세종시는 총면적 464.8㎢로 연기군(361.4㎢) 전부와 공주시(76.1㎢) 및 청원군(27.3㎢)의 일부가 포함되어 전국 17개 시ㆍ도 중 가장 작은 면적(국토의 0.5%)을 차지하고 있다.
* 붙임 2.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 경계
세종특별자치시의 지목별 면적현황을 살펴보면 임야(252.9㎢, 54%), 답(74.2㎢, 16%), 전(40.0㎢, 9%) 순으로 확인되었고, 소유구분별 면적현황은 민유지(225.5㎢, 48.5%), 법인(86.4㎢, 18.6%), 국유지(78.6㎢, 16.9%), 비법인(58.2㎢)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국토면적과 소유구분이 큰 변동 폭을 보이는 요인을 1980년대 국토이용 및 개발정책 본격화, 2008년 급속한 산업단지 개발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증감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도로와 법인소유 토지는 증가하고 농지와 개인 토지는 감소했다.
◇ 도로 112.7% 증가, 농지 11.8% 감소(1980년 대비)
대지 및 도로는 30년간 국토이용ㆍ개발정책에 따른 고속도로 확충ㆍ신도시개발 등의 이유로 도로가 112.7%(1,577㎢), 대지 64.2%(1,105㎢)로 증가했다.
《 도로 및 대지의 면적변동 추이 : 1980~2012 》
(㎢)
구분 | 1980 | 1990 | 2000 | 2012 |
도로 | 1,399 | 1,812(+41.7) | 2,349(+67.9) | 2,976(+112.7) |
대지 | 1,721 | 1,937(+12.6) | 2,278(+32.4) | 2,826(+64.2) |
이에 비해 농지(전ㆍ답) 및 임야는 30년간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농지 11.8%(-2,614㎢), 임야 3%(-1,91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 임야의 면적변동 추이 : 1980~2012 》
(㎢)
구분 | 1980 | 1990 | 2000 | 2012 |
농지 | 22,099 | 21,483(-2.7) | 20,507(-7.2) | 19,485(-11.8) |
임야 | 66,128 | 65,571(-0.8) | 65,138(-1.5) | 64,216(-2.9) |
- 농지의 경우 전국 시·도 중 경기도가 가장 많이 감소(-880㎢) 했으며, 경상남도 (-620㎢), 경상북도(-562㎢) 순으로 나타났다.
◇ 국토의 32%가 국·공유지, 법인소유 토지 지속 증가(2008년 대비)
소유현황으로 구분한 국토는 민유지 52.6%, 국유지 24.5%, 공유지 7.7%로 확인되었으며, 지난 5년간 국유지 3.4% 및 공유지 4.3%는 감소했고 법인소유 토지는 10.7% 증가했다.
- 증가한 법인소유 토지를 지목별로 확인하면 임야 187㎢, 농지 152㎢, 공장용지 및 대지가 129㎢ 증가했다. 1990년대 이래 지속적인 산업단지 개발이 공장용지, 대지 등의 사업용 토지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법인소유 토지 주요지목 변동 추이 ’08~’12》
(㎢)
구분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계 | 4,676 | 4,818(3.0) | 4,949(5.8) | 5,051(8.0) | 5,144(10.0) |
임야 | 3,279 | 3,361(2.5) | 3,415(4.1) | 3,448(5.2) | 3,466(5.7) |
답(논) | 381 | 402(5.5) | 433(13.6) | 459(20.5) | 490(28.6) |
공장용지 | 529 | 542(2.5) | 564(6.6) | 586(10.8) | 607(14.7) |
대지 | 267 | 282(5.6) | 294(10.1) | 305(14.2) | 318(19.1) |
전(밭) | 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