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내에서 '로컬푸드(Local food)'의 반응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로컬푸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직이 출범했다.
'로컬푸드'의 직거래가 활발해진 가운데 농약잔류 등 농산물의 안전성 여부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전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4월 24일 전북대, 농산물품질관리원, 시·군 로컬푸드 담당공무원, 생산자 대표들로 구성된 '로컬푸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추진협의회'를 발족했다.
이들은 로컬푸드 유통업체 9곳에서 납품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 등 모니터링을 꾸준히 벌일 계획이다.
소비자에게 안전한 양질의 로컬푸드를 제공함으로써 로컬푸드의 조기정착과 지역 농민의 소득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치단체 직매장 운영방식을 모방한 이른바 짝퉁 '로컬푸드' 직매장이 우후죽순 생겨남에 따라 완주군과 전주시가 이에 강력하게 대응하고 나섰다.
완주군 관내 농업회사법인 A업체는 '전주-완주 로컬푸드 사업부'를 만들고서 홍보 현수막과 배너 등에 마치 완주군과 전주시에서 운영하는 것처럼 자치단체 로고를 무단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완주군은 전주시와 협의해 자치단체 로고를 무단 사용함으로써 마치 자치단체의 지원 하에 사업이 추진되는 것처럼 왜곡한 해당업체를 특허법 및 상표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발하기로 했다.
앞으로도 유사한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완주군은 이 같은 현상을 방치할 경우, 결과적으로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혼란과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고 보고 다음달 중 농식품부에 '로컬푸드 직매장 인증제도' 조기실시를 촉구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