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공원 환경 ? 에너지관’… 체험 교육장으로 적극 활용
‘울산대공원 환경·에너지관’이 ‘탄소제로건물’로 선정됐다.
울산시는 지구의 날(4월 22일)을 맞이하여 ‘울산대공원 환경·에너지관’을 제1호 탄소제로건물로 선정, 체험 교육장 및 에너지 절약 홍보 시설로 적극 활용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탄소제로건물’은 에너지 부하 절감 기술을 이용해 최대한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고, 부족한 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및 자연에너지 기술을 이용해 건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없게끔 설계되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제로(Zero)인 건물을 말한다.
‘울산대공원 환경·에너지관’은 부지 6,520㎡ 건물연면적 1,487㎡ 규모로 지난 2006년 4월 준공됐으며 현재 환경관(620㎡), 에너지관(867㎡)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울산대공원 환경·에너지관’은 태양광 발전시설(250㎾/일)로 생산한 전기로 건물의 조명, 냉난방 등 건물 전체 시설 운영에 필요한 전기(240㎾/일)를 자체 충당하여 탄소배출 제로화를 이루고 있다.
이 건물이 태양광 발전시설로 전기를 생산, 활용함으로써 연간 감축되는 온실가스 양은 42CO2톤으로 추정된다.
이산화탄소(CO2) 1톤은 신갈(참나무과)나무 30년생 10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량 또는 승용차(2,000cc)가 부산 ~ 서울(800km) 7회 왕복거리와 맞먹는다.
울산시는 시민들이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이 건물을 홍보 및 교육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확대·보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울산시는 오는 5월 중에 ‘환경·에너지관’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여 전시관 주변 나무와 화초 물주기, 청소용수 등 빗물 재활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4월 20일(토) ‘2013 울산 그린스타트 대회’에서 울산 제1호 탄소제로건물 현판식을 갖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