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내 소음측정 지역의 절반 이상이 환경기준치를 초과, 소음공해가 심하지만 교통소음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경우는 전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 민주당 최용규(인천 부평을)의원이 밝힌 ′우리나라 소음실태 및 정책 방향′에 따르면 인천의 경우 19개 측정지역중 낮 시간대 소음은 일반주거지역이 53%,도로변 지역은 64%가 환경기준치를 각각 초과했다.
경인고속도로변 부평지역의 경우 지난 6월18일∼7월2일 8곳에서 밤 10시에 소음측정을 한 결과, 모두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부평구 갈산동 태화아파트의 경우 지난 7월 2일 밤 10시에 측정한 소음은 72㏈로, 야간시간 준공업 지역의 소음기준치(63㏈)를 무려 9㏈씩이나 초과했다.
부평구 삼산동 광명아파트도 지난 6월18일 측정에서 66.8㏈로 조사돼, 야간시간대 주거지역 기준치(58㏈)를 8.8㏈가량 초과했다.
그러나 인천시가 소음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10억여원을 들여 설치한 방음벽은총 3곳(484m)으로, 전국 7대 도시중 소음절감 대책에 가장 인색했다.
올해도 방음벽 설치 투자비는 경기(100억원)가 가장 많은 반면, 인천은 1억2천만원을 들여 단 한 곳(262m)을 설치해 2년째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최 의원은 "경인고속도로변과 서울외곽순환도로변 주변의 소음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데도, 인천은 교통소음규제지역 지정을 단 한 건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市) 관계자는 "인천시는 공단 및 항만이 있어 수도권 연계도로로교통소음이 극심하다"며 "중장기 계획에 의한 소음관리목표를 설정해 나가겠다"고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