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458개 응급의료기관에서 이뤄진 '폭염 건강피해 표본감시' 결과 6월초부터 지난 8일까지 모두 14명이 폭염으로 사망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document.getElementById('view_seriallink').style.display='none';</SCRIPT>
특히 전국적으로 폭염 특보가 광범위하게 발효되기 시작한 지난달 25일 이후 단 2주에 사망 사례 11건이 집중됐다.
아직 8월 초순인데도 올해 폭염 사망자 수(14명)는 이미 지난해 여름 폭염 감시기간(7월1일¤9월3일) 중 전체 사망자 수(6명)의 2.3배에 이르고 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9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50대와 40대가 각각 3명과 2명으로 드물지 않았다.
특히 폭염과 열대야가 보름 넘게 이어지면서 사망자들의 특성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6¤7월 폭염 사망자 7명 중 6명은 60대 후반 이상(68¤86세)의 노인이었고 50대는 1명뿐이었다. 대부분 고령 노인이었다는 얘기다.
이와 대조적으로 8월 들어 폭염으로 숨진 7명 가운데 40대가 2명, 50대가 2명, 70대 이상이 3명이었다. 비교적 젊은 50대 이하가 오히려 더 많았다는 것이다.
사망 장소 역시 실내외의 구분이 무의미해졌다. 지난달 사망자 7명 중 5명은 논·밭(3명), 비닐하우스(2명) 등 농촌에서 야외 작업 중 숨졌지만, 이달 사망자 7명 가운데 4명은 집 안에서 변을 당했고 3명은 논·밭·길 등 야외에서 사망했다.
실내에서 숨진 4명 가운데 2명은 술에 취해 잠을 자다 목숨을 잃었고, 낮에 야외에서 일한 뒤 가벼운 열탈진 증상 등을 보이다가 밤에 잠이 든 후 숨진 경우도 있었다.
지난해 폭염 사망자 6명 중 집에서 숨진 경우는 없었다.
6월 이후 온열질환자 수도 800명으로 이미 작년 폭염 감시 기간(7월1일¤9월3일) 전체 환자 수의 1.8배에 이르렀다.
질환 종류별로는 열사·일사병 261명, 열탈진 313명, 열경련 98명, 열실신 127명, 열부종 1명 등이 무더위로 건강 이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