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비상대책위원장은 31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2003년 분식회계 혐의로 구속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구명운동에 나섰던 것과 관련, “그런 것을 우리가 고치려고 하는 것 아니겠는가”고 말했다. 대선주자인 박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가 열리는 국회 예결위회의장 앞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경제민주화의 핵심내용 중의 하나”라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박 후보가 안 원장의 행보에 대해 구체적인 의견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 원장은 2003년 ‘브이소사이어티(V-Society)’ 회원들과 함께 1조5000억원대의 분식회계를 지시한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된 최 회장의 선처를 부탁하는 탄원서를 재판부에 제출했다. 브이소사이어티는 2000년 벤처기업인들과 재벌 2·3세들이 함께한 모임이었다. 이 모임에는 당시 신동빈 롯데 부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사장, 변대규 휴맥스 사장, 이재웅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장 등이 참여했다.
탄원서 제출은 당시 다른 회원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안 원장이 동참한 사실은 비판의 대상이 됐다. 탄원서의 내용은 재벌 총수들이 경제범죄를 저지르고 국가발전 기여도를 앞세우는 전형적인 친재벌 논리였기 때문이다. 최근 발간한 대담집에서 그가 “경제범죄에 대한 사법적 단죄” 등을 주장한 것과도 배치되는 부분이다.
논란이 불거지자 안 원장은 30일 오후 1시30분쯤 자신의 명의로 된 e메일을 기자들에게 보내 해명했다. 안 원장은 “당시에도 부담을 느꼈고, 내내 그 일이 적절한 것이었는지 생각해 왔다”며 “인정에 치우칠 것이 아니라 좀 더 깊이 생각했어야 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대한민국의 대기업들은 한국 경제에서 역할을 해 온 것은 사실이나, 그 역할과 비중에 걸맞은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며 “누구든 법을 어기면 공정하게 처벌받고,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또 “따라서 이 일에 대한 비판과 지적을 겸허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