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연말 대선에 야권 단일 후보로 출마하려 할까, 아니면 무소속으로 출마하려 할까.
안 원장의 지지율이 최근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정치권 일각에선 안 원장이 무소속으로 대선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안 원장의 무소속 대선 출마는 민주통합당이 가장 꺼리는 그림이다. 때문에 이해찬 대표도 최근 '안철수 무소속 불가론'을 앞장서 주장해 왔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박사는 3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안 원장은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지지율 추이를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며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다자 구도 지지율에서 다소 큰 격차로 뒤지는 3위를 기록할 경우 오히려 안 원장으로의 단일화 압력이 높아지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 면에서 민주당은 외통수이지만 안 원장으로선 선택지가 많다"며 "다만 안 원장이 본격적인 검증 국면을 무난히 넘길 수 있느냐가 변수"라고 주장했다. 고 박사는 "안 원장이 워낙 좋은 이미지만 쌓아 왔기 때문에 몇 가지 문제만 드러나도 지지율에 타격이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안 원장의 지지율이 올라가 다자 구도에서도 부동의 1위를 하는 경우엔 안 원장이 이른바 야권후보 단일화 과정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안 원장이 시민후보나 국민후보 형식의 무소속 대선 후보로 나설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그렇게 되면(안 원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되면) 야권의 입장에서 볼 때는 대선 전체를 망쳐놨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고, 새누리당 입장에서 볼 때는 '우리를 도와주는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다자구도 지지율에서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전히 1위를 유지할 때는 안 원장도 울며 겨자 먹기로 야권후보 단일화에 들어갈 것"이라면서 "그렇게 되면 본인이 주장한 탈진영 논리를 스스로 부정하는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안 원장의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명운동 논란에 대해선 "안 원장이 '내내 그것이 가슴에 걸렸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안철수의 생각>이란 책에서 언급했어야 되는 것 아니냐"며 "그렇지 않으니까 변명처럼 들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