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부의장 구속 다음날인 11일 이 대통령은 여의도 63빌딩에서 예정됐던 제1회 인구의날 기념식 참석을 돌연 취소하고 침묵으로 일관했다.
친형의 구속에 대해 이 대통령은 형제로서 '정'과 함께 정권을 현재 상황으로까지 오게 한 답답함도 작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부의장은 2007년 몇 안 되는 국회의원들을 규합해 캠프를 꾸리고 결국 대선 승리를 거머쥐게 한 정권 창출의 일등공신이다. 이 대통령은 물론 주변 측근들도 정권 창출에 기여한 이 전 부의장 역할을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현 정권 최대의 실정으로 꼽히는 초기 조각 인사 등을 이 전 부의장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측근들 사이에서는 불평불만도 적지 않다. 이 전 부의장은 이른바 '고소영 강부자' 내각을 만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초기 청와대와 정부 공기업 인사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만사형통'이라는 조어도 만들어냈다. 실제로 현 정부가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결정적 이유로 여론은 인사 실패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뿐만 아니라 이 대통령 임기 5년차를 맞아 이 전 부의장의 금품수수 의혹이 불거지면서 정권의 도덕성에도 치명상을 안겼다.
집권 초기부터 '이 정권은 기업들에서 대선자금을 한 푼도 안 받은 도덕적으로 깨끗한 정권'을 자처했던 이 대통령으로서는 '유구무언' 상황이 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오랜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중남미 순방 이후 이 전 부의장에 대한 수사가 시작된 뒤 이 대통령은 한 번도 형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결국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과 이 전 부의장 개인의 문제는 별개로 하고 묵묵히 국정에 충실해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