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생 학업성취 수준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리고 해가 갈수록 떨어지고 고교 1년생은 10명 가운데 1명이 최소한의 기초학력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높고, 대도시와 중.소도시 학생이 읍.면지역보다 높았지만 초등 및 고교는 중.소도시 학생 평균점수가 높은 과목이 대도시보다 많았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주관으로 지난해 11월말 전국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3개 학년생 가운데 약 1%인 전국 575개교 1만9천200명을 대상으로 `200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기초학력 이상을 성취한 학생은 초등 6학년 95.9%, 중학 1학년 92.7%, 고교 1학년 89.6% 등 평균 92.7%로 위로 올라갈수록 떨어졌고 보충학습이 필요한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초등학생은 4.1%에 그쳤으나 중학생 7.3%, 고교생 10.4%에 달했다.
우수학생 비율도 초등학생은 23.7%였으나 중학생은 11.3%, 고교생은 10.3%였다.
지난해 발표한 2001년 평가 결과와 비교하면 성취수준 분석 방법이 달라 단순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교육부 설명에도 불구하고 기초학력 미달자 비율이 초등 1%, 중학 5.4%, 고교 6.1%에서 높아졌고 우수학생은 초등 28.5%, 중학 10.9%, 고교 12.7%에서 크게 떨어졌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낮은 과목은 초등학생의 경우 영어(71.02점)-과학(61.26점), 중학생은 사회(50.48점)-과학(39.88점), 고등학생은 사회(46.06점)-영어(37.75점)였다.
성별로는 고교 수학에서 남학생(38.93점)이 여학생(38.91점)보다 약간 높았을뿐 모든 과목에서 여학생이 높았고 그 차이는 초등학생 영어(남학생 67.29점-여학생 75.16점)에서 가장 컸다.
지역별로는 초등생은 수학을 제외한 국어와 사회, 과학, 영어 과목이 중.소도시 거주 학생이 대도시보다 높았고, 반대로 중학생은 과학을 뺀 모든 과목이 대도시가 높았으며 고교생은 거꾸로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이 중.소도시가 높았다.
모든 학년, 모든 과목에서 읍.면지역은 대도시나 중.소도시보다 떨어졌다.
평가영역별로 분석하면 국어의 경우 초등생은 `읽기′와 `쓰기′가, 중학생은 `듣기′와 `쓰기′가, 고교생은 `듣기′가 가장 높았고 영어는 초등생은 `쓰기′가, 고교생은 `말하기′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교육부는 학습부진 학생 지도 등을 위해 수준별 교육을 통해 심화 및 특별 보충 과정을 내실있게 운영하고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