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휴스턴에 사무소 … 삼성은 직원 37배 늘려
국내 기업들이 셰일가스(Shale gas)를 캐러 미국으로 몰려가고 있다. 가스 개발에 직접 참여하거나 개발에 들어가는 부품과 장비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셰일가스 특수를 노리고 있다. 마치 1848년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주로 금을 채취하기 위해 몰려가는 골드러시를 방불케 한다. 셰일가스는 지하 2~4㎞ 퇴적암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올해 연두교서에서 “우리는 100년간 쓸 수 있는 천연가스를 갖고 있다”고 공언할 정도로 매장량이 막대하다.
포스코는 가스 개발에 투입되는 고급 강재 시장을 노리고 지난달 텍사스 휴스턴에 사무소를 차렸다. 미국석유협회로부터 인증받은 고급 강재와 해양구조용 강재를 새 수익사업으로 육성해 왔는데, 셰일가스 붐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은 것이다. 셰일가스를 개발하기 위해선 지하로 수㎞를 파고들어가야 하는 특성상 미국 개발업체들은 가스 유출 위험을 없애기 위해 다소 비싸더라도 믿을 만한 업체의 파이프를 사용한다. 포스코 휴스턴사무소의 서동한 팀장은 “저급 강재에 비해 20% 정도 가격을 더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2007년 3명으로 시작한 휴스턴 사무실 인력을 올해 111명으로 늘렸다. 셰일가스 특수를 기대하고 뽑은 인원들이다. 지난해에는 미국 다우케미컬의 텍사스 화학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4억 달러(약 4400억원)에 수주했다. 셰일가스에서 나오는 물질을 가공하는 공장이다.
북미 변압기 시장 점유율 1위인 현대중공업은 셰일가스 발전소 건설이 활발해질 경우에 대비해 변압기 공급을 더 늘리고, 앞으로 터빈·보일러 같은 다른 제품으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 주문이 밀려들면서 3년 전 폐쇄한 노스다코다주의 소형 건설장비 공장까지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SK건설과 SK E&S도 셰일가스 프로젝트 참여를 모색하고 있다. 지식경제부 역시 지난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셰일가스가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 검토에 들어갔다.
셰일가스=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인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 한곳에 몰려 있는 유전지대 천연가스 와 달리 비전통가스로 분류된다. 셰일가스는 암반 틈 에 퍼져 있어 채굴이 어려웠다. 그러나 수직으로 땅을 뚫고 들어간 뒤 지표면과 수평으로 사방을 훑을 수 있는 수평시추 공법이 개발돼 경제성 있는 채굴이 가능해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