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3일 화성에서 광견병이 발생함에 따라 경기도가 전 지역에 대한 예방접종과 야생동물 출몰지역 야산에 미끼예방백신을 살포하는 등 철저한 방역활동에 나섰다.
24일 경기도 관계자에 따르면 도는 광견병 예방접종을 도내 전 시 군으로 확대하여 4월 중 도내 사육 중인 개 47만 5천두에 대한 예방접종을 완료하고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미끼예방백신 10만 5천개를 야산에 살포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개와 고양이 등 버려진 유기동물들이 야생동물화 돼 광견병 매개체로 활동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유기동물 보호센터를 활용한 유기동물에 대한 포획 관리를 강화하고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동물등록제를 조기에 실시해 광견병 예방 및 확산방지에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광견병은 예방약의 효과가 좋아서 예방접종만 하면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예방접종을 실시해야 한다”라며 “야외에 나가는 여행자는 가급적 야생동물과 접촉을 피하고, 광견병이 의심되면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견병은 모든 온혈동물에 감염되며 감염동물의 침에 있는 바이러스가 상처부위를 통해 동물, 사람에게 전염되는 치사율이 높은 질병으로 광증, 마비, 과도한 침 흘림 등의 증상을 보이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주요 발생원인은 야생동물 특히 너구리가 옮기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너구리의 번식 증가로 인해 먹잇감을 찾아 야산을 타고 민가로 내려와 개들과의 접촉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다.
- TAG
-